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존감'을 논하기 전에 아주 근원부터 생각해본다. 개체는 자기(self)와 외부세계를 구분한다. 자기를 더 잘 살아남게 하기 위해 항상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외부 정보를 습득하며 생명 유지에 더 이로운 쪽으로 각자 반응한다. 이 틀과 과정은 사람 수만큼 각자 다르다.

자존감에 관한 책은 많지만, 이 책 저자가 과학자라 그런지 전개가 독특했다. 기본적으로 <가설-설계-실험-해석>의 반복으로 책의 주제를 이끌어간다. 뇌의 세계에서 아직 증명되지 않은 것들이 많지만, 기본적인 항상성 유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설명한다. 해서 가설과 해석의 도약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책의 해설을 더하면 '나'의 세계 인식 방법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떠올려볼 수 있다. 자존감을 아는데 앞서 '자기감'이 더 중요한 테마다.

책을 따라가며 내 경우에 대입해보면, 나의 뇌가 어떤 쪽으로 강화되거나 약화되어 자기감에 문제가 생겼는지 실마리가 보이는 것 같다. 해서 문제라 느끼는 부분을 바꾸는데에도 이 책이 유효할 것 같다.

나의 경우, 결국 생물의 몸에 얽매인 자아의 아주 작은 요소부터 따져보면서 내가 태생적으로 가졌던 부분과 스스로 바꾸어나간 부분을 나누어보았다. 나의 어떤 부분이 도드라지는지 균형이 깨진 부분을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