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리진 1. 보온 - 세상 모든 것의 기원 ㅣ 오리진 시리즈 1
윤태호 지음, 이정모 교양 글, 김진화 교양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난 누가 뭐라 해도 역시 사람이다.
미래에서 온 로봇과 아저씨가 서로 마주 보며 눈빛을 교환하는 장면이 좋았고, 로봇이 사람들로부터
이름을 얻고 봉원이 동생, "봉투"가 되어 자신의 컴퓨터에 봉투라고 입력하는 장면에서는 정말이지 뭉클했다. 로봇이 사람에게 받아들여지는
순간이고, 로봇이 자신을 봉투라고 명명하면서 자신을 봉투로 인식하는 장면이니까.
이 순간이야말로 바로 시인 김 춘수 님이 말한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던 무엇이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는 역사"가 아니겠는가? 그렇게 해서 네가 나에게 들어왔고 나는 네게 들어간다.
그리고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만화의 마지막 장면에 나온다. 더 이상은 스포가 되므로 밝힐 수 없음이
안타깝다.
처음에 오리진 시리즈의 첫 권 제목이 "보온"이라고 할 때, 나는 작가 윤 태호 님의 안목에 탄복하며 "앗싸"라고
소리 질렀다. 그래서 두말없이 서평 도서 신청을 했다. 모름지기 '기원'을 고민한다면 생명체로서의 근원은 열이고 즉 이 열을 어떻게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용할 수 있는가가 생명체에게 중요한 관건이라고 생각하셨다는데 깊은 공감을 갖는다.
언젠가
읽은 우스갯소리가 생각난다. 모유 수유의 장점 몇 가지를 적어놨는데 거기에 '휴대가 간편하다.'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말이 들어있었다. 그는 약간 외설적인 의도에서 꺼낸 농담이었을지 모르나 이 항상성 유지는 바로 생명을 생명으로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아니 절대적인 기능이고 본능이다. 그 유머를 읽으면서 아이에게 언제든 일정한 온도의 식량을 공급하고 더불어 자신의 체온을 아이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엄마의 마음을 생각하니 나의 마음까지 훈훈해졌던 기억이 난다.
교양은 한 나라의 국민을 얼마나 행복하게 하느냐 그래서
한 나라가 얼마나 건강하고 유능한 나라가 되느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다. 한 나라 국민의 교양이 천박하면 삿된 위정자들의 속임수에
현혹되기 쉽고, 사악한 자본의 논리에 힙쓸리기 쉬운 나약하고 병든 체질의 개체가 되고 만다. 위즈덤하우스의 기획 의도가 그것을 우려하고
저지하려는 의미있는 시도들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마지막 100권의 시리즈를 완성할 때까지 인류에게 중요한 덕목들을 함게 찾고 고민하면서 공유하는
멋진 책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