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스트레스
오은영 지음 / 웅진리빙하우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평소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를 보면서 정말 얼마나 많은 생각들을 했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오은영 박사님이 모든 문제 상황들을 명쾌하게 해결하는 모습을 보며, 아! 해결책은 얼마든지 있는거구나~ 하며 묘한 안도감을 느꼈다고나 할까~

그분의 명저 중 '아이의 스트레스'를 읽을 기회가 생겼다.

 

바람직한 육아를 위해 많은 부모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생각하지만, 정작 그 속에는 "아이" 자체가 빠져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게 어떤 말인지 알 것 같다.

아이를 위해 좋은 교구, 좋은 프로그램, 다양한 체험, 다양한 자료와 정보 등을 섭렵하고는 있지만, 정작 아이가 뭘 좋아하는지, 그것을 정말로 좋아하는지, 그것에 대해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지 등 아이가 중심이 되어서 생각해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어쩌면 나도 그 속에 없다고는 못하겠다.

그런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해서 항상 아이를 살피고 있다고 믿고 싶지만,

정작 아이가 받고 있는 어떤 스트레스가 있을 것에 대해서는 자신을 못하겠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엄마의 산도를 빠져나와 태어나야하는 스트레스를 시작으로 모든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아이들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그 심리를 표현하기 어렵다.

하물며 성인들도 내 마음 나도 몰라가 얼마나 많은가~~~

그렇다면 아이들은 말해 뭐할까~

아이들이 어떤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일단은 부모가 먼저 눈치를 채야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고,

그럴려면 부모는 평소 아이를 잘 관찰하고 있어야하겠지! 물론 아이한테 관찰당한(?)다는 티는 절대 내서는 안된다.

그 조차도 아이에겐 스트레스가 될 수 있을테니 말이다.

 

스트레스는 과하면 몸과 마음의 건강을 해치지만,

적당한 스트레스는 당연히 살아가는 삶의 일부이자 인생의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필요한 요건이라고 저자는 표현한다.

언제나 스트레스 없이 행복하게만 살 수는 없는 법!

필요하다면 스트레스를 받아들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되어 흡수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저자는 필요한 스트레스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예시로 들고, 이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놓았다.

 

아이들은 부모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양육방식의 많은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다.

관심을 너무 줘도, 아니면 너무 자유를 주어 무관심하게 보이는 상황에서도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다.

부모는 부모로서, 아이를 잘 알고 있어야하며, 아이와 소통하고, 아이를 믿어주고, 감정적으로 사랑을 전해주면서 적당한 거리또한 지켜주며 아이 스스로 판단하고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도록 힘이 돼 주어야 한다.

이를 이루기를 원한다면 진심으로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원하는 건 뭐든 들어주라는 게 아니라 진심으로 아이 입장이 돼 보라는 것이다.

 

책을 읽는 동안, 아이를 계속 지켜보았다.

나는 과연 얼마나 내 아이의 스트레스를 잘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꽤 힘든 작업인듯 싶지만, 조금씩이나마 잘 해 보고 싶다.

우리를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