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역사란 무엇인가 범우사상신서 9
E.H.CARR 지음, 김승일 옮김 / 범우사 / 1996년 6월
평점 :
품절


역사는 진보하는가. 누군가 이렇게 묻는다면 우리 시대의 평범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고들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회의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는 우리의 안일한 생각을 꼼꼼하고 논리적으로 뒤집어 나간다. 역사는 진보한다. 하지만 여기서 진보는 그저 경제, 과학, 정치의 발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철학적이고 포용력 있는 진보이다. 자세한 것은 책을 통해 확인해 나가길 바란다. 역사의식에 대한 영원한 입문서. 누구에게나 이 책은 도움이 될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나는 순수한 민주주의에 몰두하지 못할까
마광수 지음 / 사회평론 / 1997년 1월
평점 :
절판


사실 많은 사람들은 그에 관해 오해하고 있다. 그것은 그의 저작을 통해 그를 직접 만나지 못하고 각종 소문들로 그를 들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왜 한국 지식인계는 그를 그런식으로 매도해 온 것일까. 마광수는 그렇게 매도당할 만큼 광기적이지도 않다. 그는 냉정하고 사실적으로, 솔직하게 얘기하고 있을 뿐이다. 이 책은 그러한 그이 생각을 만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물론 작가로서의 그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자 한다면 여타 다른 소설을 읽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 사회를 보는 개인적인 토로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선택할 때는 한가지 주의할 것이 있다. 제목에 매혹당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은 순전히 제목일 뿐 책 내용과는 별다른 관계가 없다. 오히려 책 내용은 그의 영원한 화두, 성담론에 가깝다. 민주주의의 현실이나 한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물론 그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러한 화두를 통해 진정한 민주주의로 나아가고자 하는 것일 테지만. 비교적 두꺼운 책이다. 하지만 그의 특유의 말솜씨로 책 읽는 내내 지루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한번쯤 생각해 볼 문제. 그것들이 담겨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권으로 읽는 니체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고병권 옮김 / 푸른숲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니체에 관한 초보자에게 적당한 책입니다. 니체에 관한 수많은 소문과 그 진상을 말해주고 니체에게 가는 길을 잘 안내해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니체에 대한 소개로 만족해야 하는 한계가 있는데요. 이 책은 애초에 그러한 이유로 쓰여졌으니 그것이 꼭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니체에 대해 알고싶으시다면 이것을 그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니체를 만나시고 다음으로 니체의 저작들을 통해 직접 니체와 대화해 보십시오. 그 시작으로서 아주 적당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극의 탄생 - 이 사람을 보라 홍신사상신서 31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 홍신문화사 / 1989년 3월
평점 :
절판


170페이지 정도되는 분량은 사실 별로 두꺼운 책이 아니죠. 하루 맘 잡으면 뚝딱 읽을 수 있는 분량. 하지만 이 책은 좀 다르더라구요.한장 읽으면 한장 까먹는... 내용의 깊이가 상당해서쉽게 잡을 수 있는 책이 아니죠.하지만 전 토론모임에 참여하기 위해 비교적 꼼꼼히 이 책을 읽었는데요. 읽는데 힘들었던 만큼 보람도 큰 책이었습니다. 내용을 간단히 말하면 다음과 같아요. '서양의 역사는 진리를 추구하면서 발전해 왔지만 근대에 그것의 한계를 맞았다.

그 한계를 무엇으로 극복할 수 있을까. 그것의 실마리는 그리스의 비극에서 찾을 수 있다.그리스의 비극은 곧 합창이었으며 합창이라는 음악은 디오니소스적 언어이다. 우리는 음악에서 근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희망을 만날 수 있다. 그러한 음악적 부활은 독일음악, 바그너 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 니체의 초기 책으로서 니체 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초석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세계관을 넓힐 수 있는 좋은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거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