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안드레아스 헤르만.발터 브레너.루퍼트 슈타들러 지음, 장용원 옮김 / 한빛비즈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평소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던 분야가 아니었던지라, 이 책을 다 읽을 수 있을지 걱정이 되었는데 생각보다 잘 읽혔던 책이었습니다. 운전을 하지만, 자동차에 큰 관심이 없는 저. 그래서 초반에는 자동차의 변화에 대한 부분이 그다지 재미있게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만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해 변화될 사회적 양상에 대해서는 아주 재밌게 잘 읽었던 것 같습니다.


책이 두꺼운만큼, 자율주행 기술과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한 심도있는 고찰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이제 상상이나 공상이 아닌 현실이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지요. 현재는 GPS나 네비게이션으로 길을 알려주는 수준, 차선을 넘어가면 자동차가 그것을 감지하고 정상적으로 돌려주는 수준, 주인 대신 자동차의 신호를 걸어주는 시스템 수준이겠지만 책에서 나오는 것처럼 자동화의 수준은 아주 빠르게 발전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막연하게 두려워하기에 앞서서 자동화의 장점은 장점대로, 우려되는 문제는 문제대로 발전 속도에 맞추어 풀어나가야 하겠지요.

이 책에서는 자동화와 자율주행 시스템이 야기할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들을 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자동화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청사진을 많이 내다볼 수 있게 되었달까요. 환경 문제라든지, 안전 문제라든지, 교통 체증 문제와 같은 것들도 자율주행 자동차에 의해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 같고요. 물론 인간의 편리한 삶은 두 말 할 것도 없겠지요. 다만, 이 책에서도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되짚어보고 있습니다. 무작정 자동차 혼자서 달리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잘 설계하여야 한다는 것이죠.

다만 읽으면서 생각이 들었던 것은, 이렇게 좋은 미래를 예측하게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미래에 모든 사람에게 보급이 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무엇보다도 사람들 간의 경제적, 복지적 격차가 더 커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생겼습니다. 실제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수단을 갖춘 곳에 사는 사람이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발표했다고 하니, 이 말을 반대로 생각하면 결국 그러한 교통수단이 갖추어지지 않다면 빈곤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겠지요. 책을 읽으면서 자율주행 자동차가 그려내는 미래상에 대해 기대도 갖게 되었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서도 다시금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해 막연하게 두려움을 갖고 계셨던 분이라면, 읽어보면 좋을 듯한 책이었습니다. 미래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모습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책이기도 하구요.


자동화 단계가 올라갈수록 처리장치는 중요한 일을 점점 더 많이 맡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운전자는 다른 일을 할 여유가 생길 것이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