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불확실한 삶을 돌파하는 50가지 생각 도구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철학을 전공한 지인의 대화 중 ‘나는 철학자는 전부 싫다’고 말하는 것을 우연히 들었습니다. 그는 철학자는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진리를 단지 어렵게 이야기할 뿐이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죠. 우리 시대의 철학과 철학자란 이 철학 전공자의 의견과 그 위치가 별반 다르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최근에서야 인문학 열풍으로 인해 몇몇 철학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루기는 하지만, 여전히 철학은 현대 사회에서 큰 자리를 차지하기 어려운 것이 실정이지요.


한편 저는 그러한 실정에도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 혹은 대학교 학부 시절에 철학과 윤리에 심취하기도 하여 그 점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꽤나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노자의 철학관이 좋다느니, 지라르의 이론에 공감이 간다느니 다소 허세를 부리기도 하면서 말이죠. 하지만 저 또한 철학 속에 내포되어 있는 욕망의 기반과 그 정체에 대해 배우며 스스로의 욕망을 다스리기도 하였습니다만, 그 외에는 철학이 크게 일상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하지는 못하였던 것 같습니다.


철학을 전공한 자에게도, 철학을 좋아하는 자에게도 여전히 어려운 것이 바로 철학, 철학자였던 것이죠. 하지만 저자는 제목부터 당당하게 주장합니다. ‘철학은 삶의 무기가 된다’고 말이죠. 과연 고전적인 철학 사상들이 과연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이 책을 읽고나서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사회를 이해하고 사람을 이해하는데 철학은 유용한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관리자로서 직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업무를 주면 좋을지, 왜 어떤 리더는 존경받는지, 왜 그 사람은 이해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행동하는지를 이미 기존의 철학자들은 설명하고 있었던 것이죠. 게다가 작가는 철학자의 말을 빌려 우리의 안일한 사고방식에 경고를 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사고하느냐에 따라, 우리가 시스템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우리는 악인이 될 수도 있고, 우리 조직은 성과 없이 뒤쳐질 수도 있다고 말이죠.


작가는 본인이 철학을 전공했을 뿐, 철학 전문가는 아니라고 일치감치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철학 도서에 비해 실질적인 상황들과 이해하기 쉬운 논쟁들로 어려운 철학 주제들을 보다 쉽고 실용적으로 잘 풀어내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책을 읽다가 좀 더 궁금한 철학 주제에 대해서는 제가 스스로 찾아보기도 하고 있더군요. 의외로 철학적인 주제들은 흥미로웠고,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일률적으로 나열을 한 것이 아니라 50가지 철학적 주제로 나누어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틈날 때마다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 조금씩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철학에 관심 있으신 분들, 철학에 입문하고자 하시는 분들, 불공정한 사회 구조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하시는 분들, 주변에 이해되지 않는 사람이 있으신 분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원하시는 분들..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