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고 신비한 문자이야기 어린이지식박물관 1
캐럴 도너휴 지음, 윤희순 옮김 / 박물관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기원전 3000년 이전에 미소포타미아 수메르 사람들이 쓰던 설형문자에서 오늘날의 한글까지 문자는 바뀌고 변형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우리가 쓰는 한글은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에서 탄생되었다. 그 이전에 가림토라는 문자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가림토로 쓰여진 서적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글씨도 크고 사진들로 이해를 돕고 있어서 어린 친구들이 읽어도 손색 없어 보인다. 약간의 용어들이 어렵긴하지만 남녀노소 누구나가 읽기를 권한다.

처음에 문자는 마치 무슨 모양이나 그림이였다. 아직 제대로 문자가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간단한 그림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했다. 또 종이가 없을 시절이라 진흙판이나 돌판이나 이런 곳에 문자를 교류하였다.

사람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어떻게 그림으로 표현하려 했는지 정말 의사 표현이 제대로 전달 되었을까? 내가 보았을 때는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고 초등학생 낙서 같았다.

비록 이 책이 청소년 권장도서지만 대학생인 나도 읽어보았는데 전체모두가 읽으면 좋을 듯하다. 나도 몰랐던 사실들이 많다. 금속활자 인쇄술도 그림까지 친절히 넣어주고 설명을 덧붙여 주셨다.

난 정말이지 휴대폰에서 이모티콘에 이르기까지 문자의 역사가 이렇게 길다곤 생각 못했다. 고대 이집트 문자도 알파벳 탄생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되어주고 세월이 지나가면서 문자의 모양이 서서히 나왔다.

우리나라 한글은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에서 탄생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없어진 표현들이 있다. 아리아와 꼭지달린 이응 옛이응 반치음 여린히읗이 없어졌다.

없어졌다긴 보다는 쉽게 변했다. 우리의 한글이 없었다면 우린 계속 한자를 빌려 어렵게 불편한 의사소통을 계속 하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는 한글을 사랑하고 우리 문자가 탄생한 것에 감사하고 인터넷용어 사용을 줄여야한다. 외계어 사용이 증가하는 지금 우리 문자 탄생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 번 나를 되새겨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