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
한유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다시 그녀의 책을 읽다가 악몽을 꾼다.

그녀의 문장은 나의 뇌를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는다. 동일한 단어는 반복되고, 그것이 동사든, 명사든 할 것 없이 내 눈을, 뇌세포를 속박한다. 그녀의 소설은 때로 자폐증 혹은 난독증, 그 자체 같기도 하다.

잠시라도 다른 생각을 했다가는 문장을 놓치고 만다. 나는 페이지를 다시 앞으로 넘겼다가 문장을 몇 번 반복해서 읽는다. 여전히 그녀의 소설은, 아니 문장들은 수수께끼 같고 암호 같지만 읽을수록 친숙해진다. 그래서 이제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현실에서 모든 사건들은 우연적으로 일어난다. 허구에서 모든 사건들은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우연이든 필연이든 모든 사건들은 돌이킬 수 없다는 속성을 공통으로 나누어 갖는다.

단편소설집이지만 읽으면 하나의 큰 이야기가 된다. 서문 같은 첫 짧은 단편은 이 책의 제목처럼 자신이 해야 할 일과 처한 상황들을 알려준다. 글을 쓴다는 작가 자신의 속내는 마지막 단편인 ‘불가능한 동화’와 연결된다. 이 소설집은 그러므로 작가가 만들어낸 완벽한 구(球)이다. 그녀의 소설에 나왔던 노랫말처럼 앞으로, 앞으로, 자꾸 걸어 나가면... 자신의 소설 속에서 답을 찾게 된다.

이번 소설집에서는 뚜렷한 사건과 스토리를 가진 소설들이 등장한다. 특히 마지막 두 편의 연작 단편은 앞의 소설들을 읽음으로 해서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앞의 소설에서 말한 문장들과 세계들을 지나가고 나서야 비로소 맞닥뜨릴 수 있는 작가 한유주의 세계인 것이다.

그녀는 ‘토마스 베른하르트에게’라는 문장을 소설의 첫 장에 썼다. 그녀의 소설은 그 작가의 작품 베끼기에서 시작된다. 더 잘 베낄 수 있지 않았을까. 라고 작가의 말에서 말했듯, 그녀의 이번 소설을 탄생하게 한 것은 그 작가의 공이 크다. 그녀는 철저하게 단편소설 여기저기에서 ‘희극입니까? 비극입니까?’를 언급한다. 그녀는 실제 소설 속에서 그 단편을 모티브로 베껴서 이야기를 써나가는 과정을 만들기도 한다. 그 과정은 그리고 이 소설집 전체를 아우르고 있다. 연작 단편 ‘인력입니까, 천력입니까’ 라는 제목에서도 분명히 나타나있다.

대재난이 일어난 후의 지구에서 살아남은 문영과 하령의 이야기는 그녀가 써낸 한 편의 동화 같다. 절반이 물에 잠긴 지구에서 살아가지만 역시 뚜렷한 사건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소설을 쓰려는 하령은 주변의 인물들을 바라보고 바뀐 환경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 속에 작가의 고민들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앞의 단편들을 디딤으로서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 그래서 이 ‘인력입니까 천력입니까’라는 단편과 ‘인력이거나 천력이거나’라는 단편은 어떤 단편보다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문득 생각한다. 나와 문영의 이야기를 소설로 쓸 수는 없을까. 그리고 문영의 아버지, 그리고 죽은 사람들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쓸 수는 없을까. 모든 사람들은 이미 죽었거나 곧 죽게 될 것이므로, 누군가는 이르게 죽고 누군가는 느리게 죽듯이, 우연이 희극을 만들고 필연이 비극을 만드는 것이라면, 그 자체로, 희극이거나 비극이거나, 한 편 정도의 드라마는 쓸 수 있지 않을까, 문득, 생각했다.

기묘하지만 이 두 단편을 읽으며 나는 생생하게 그들의 모습을 그려낼 수 있었다. 그녀의 소설을 읽으면서는 드문 일이다. 커다란 달을 보며 배영하는 하령, 물갈퀴가 자라는 손, 매일매일이 일요일인 그 세계, 마치 영화 한 장면처럼 나는 그 모습에 매료되었다.

 

 

소설집 초반에 등장하는 ‘머리에 총을’ 이라는 단편은 단지 길을 걷고 있는 인물을 묘사했을 뿐인데 기억에 오래 남는다. 제목 그대로 머리에 총을 맞은 사내의 걸음이 눈앞에 어른거리게 된다. 이렇듯 이번 소설집에서는 그녀의 문장들은 나름 선명하게 장면들을 만들어 낸다. 문장에 대한 고민들이 흘러 넘쳐서 만들어낸 형상들이다. 그래서 그녀의 소설들은 사건들을 표현하기 위해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문장을 쓰기 위해 사건들이 존재한다는 느낌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는 어구를 좋아하는데, 그 까닭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에게 밝힐 수는 없다. 어쩌면 이유라고 할 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어쩌면 나를 드러내는 것이 부끄러워서, 어쩌면 드러낼 만한 나라는 실체가 없다는 사실이 부끄러워서, 그래, 그것이 부끄러워서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말을 시작해야지. 그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어구를 좋아한다고 말한 사람을 일주일 안에 세 번째 만났다. 이건 우연인걸까.

읽기 위한 소설이 아닌 쓰기 위한 소설인 그녀의 소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 지켜보며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