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중동과 이슬람 상식도감 지도로 읽는다
미야자키 마사카쓰 지음, 안혜은 옮김 / 이다미디어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랍의 봄 이후, 중동 지역의 정세는 국내외 모두 불안정하고 작년 이슬람 무장단체 IS의 마지막 근거지였던 바구즈까지 잃게 되면서 와해된 것으로 보이지만 오랜시간 부족간의 종파간의 세력다툼이 있어왔던만큼 여전히 중동지역의 정세는 불안정하다. 이런 중동지역의 정세는 비단 요 몇 십년간 꾸준히 분열과 대립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이런 분열과 갈등의 모습은 오랜시간 역사적으로 이어져 온 것임으로중동의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선 중동 지역의 역사와 세계 속에서 중동 지역신들의 기원과 그 뿌리부터 깊어가야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이에 대하여 예로부터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던 중동지역과 복합적이고 광활한 지역에 걸쳐있는 이슬람 세계에 대하여 4대문명의 발상부터 출발하여 오스만제국, 1.2차 세계대전과 현재 다양한 이슬람 과격파의 출연까지 지도를 통해 다양한 역사적 흐름을 짚어보며 심층적인 중동지역을 설명한다. 중동지역을 흔히 떠올릴때 이슬람 나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중동 지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국제 정치상의 지역 개념으로 지도상에서는 동지둥해에서 페르시아인까지의 아시아 중서부 지역을 말한다. 그에반해 이슬람 세계는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동남아시아까지 이른다. 그래서 중동 국가는 곧 이슬람 국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유럽의 국가나 민족이라는 개념이 들나오기 전까진 중동은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가 공존했던 지역이다. 그 예로 레바논 국민의 3분의 1은 기독교인이고 이집트와 시리아 역시 국민의 10퍼센트가 기독교인이고 이슬라엘은 국민의 대다수가 유대교인이다. 


이 책에서는 중동의 역사와 이슬람 세계를 다루면서 크게 이란인, 아랍인, 투르크인으로 나누고 총 여섯시대로 나누어 중동지역의 지리와 문화 종교 등을 설명한다. 중동의.주요 민족인 이란인, 아랍인, 투르크인을 축으로 그들이 다른 외지에서 중동의 중심주러 이주해 주요민족이 되었는지는 국가 단위의 민족이 아닌 이슬람교와 부족의식 등으로 뭉쳐 세계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하는 중동 여섯시기는 문명의 탄생과 중심세력이었던 이들이 바뀐 양상에 따라 구분하며 현재 중동의 혼란 시대까지 영프가 식민지 지배에서 물러나며 버러지는 질서의 개편에 대하여 쉽고 시각적인 이미지로 핵심적인 내용들을 통시적으로 다룬다. 평소 중동 지역의 이슈들이 복잡한 정세 탓에 제대로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중동지역의 역사를 이해하고나니 현 중동의 시국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중동지역을 둘러싼 세계사 맥락을 이해해 국제 질서들을 잘 파악하고 세계 이슈들을 잘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