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 비평 189호 - 2020.가을
창작과비평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아무래도 심리 묘사가 아닐까 싶다. 저자는 좋은 것도 아니고 싫은 것도 아닌 회색빛의 미묘한 감정을 잘 포착해낸다. 주로 의 독백과 회상으로 이루어진 소설의 전개 방식도 여기에 한 몫 한 것 같다. 저자가 작품 속에서 풀어낸 감정은 정말이지 제목 그대로 이름 없는 마음이다. 이렇게 리뷰를 쓰려고 하는 나도 그것을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할지 알 수 없으니 말이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으로 이 작품을 그다지 즐기면서 읽지 못했다. 왜냐하면 무엇보다도 너무나도 재미가 없었기 때문이다. 장르 문학에 너무 길들여져 버린 탓일까, 소설 속에서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에 흥미를 느끼지도, 인물들의 심리를 이해하지도 못한 것 같다.

이 소설은 의 동생 현권이 를 방문했다가 떠나가는 하나의 큰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다 할 만 한 큰 갈등은 딱히 없고, 회상과 심리 묘사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야기가 나열되듯 쭉 전개되는 것은 아니다.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일까, 저자는 현권이 를 찾아오게 된 이유, 그리고 현권과 가까운 사이인 듯 보이는 가희 씨의 정체를 감추며 소설 속에서 점차 풀어나간다. 하지만 나는 뒷이야기가 궁금하다기보다는 정신없는 느낌이 더 컸다. 나중에 해답이 밝혀지는 장면에서, ‘, 이게 뭐였지?’ 하며 이전 장면으로 돌아가 다시 찾아보고 넘어가야만 했던 곳들도 있었다. 이 사건이 저 사건 같고 이 인물이 저 인물 같아 영 헷갈렸다.

이 소설에서 재미를 느끼지 못한 또 다른 이유는 등장인물들에게 공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설프고 자꾸 돈만 탕진하는데다 사회성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현권, 어딘지 모르게 치졸하고 얄미워 보이는 남편, 영 우유부단한 ’, 그리고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의 커다란 골칫거리 중 하나인 가희 씨. 작가는 인물들에게 공평하다. 한 인물이 다른 인물보다 큰 잘못을 저질렀다든지 일방적으로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인상은 크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인물 각각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 아니라, 모든 인물이 똑같이 싫게 느껴졌다. ‘에게도 현권에게도 공감이 가지 않았다. 물론 저자가 그것을 의도한 것이었다면 의도를 훌륭히 잘 살린 것이겠지만, 나로서는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 중 하나로 작용했던 것 같다. 호감을 가지지는 못하더라도 , 이 사람이 이래서 이렇게 행동했구나.’를 이해할 수 있는 편이 아무래도 더 좋지 않을까.

지나치게 이름이 없었던 마음도 나에게는 좀 어려웠던 것 같다. 앞서 말했듯 저자는 미묘한 감정을 잘 포착해내는데, 그게 지나친 탓에 읽고 나서 , 그래서 어떤 심정을 표현하려고 한 거지?’하고 어리둥절해지는 면이 조금 있었다. 또 짧은 글 속에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가 있어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혼란스러운 점도 있었던 것 같다. 혹시 현재의 자잘한 디테일이나 사건들에 대한 묘사보다는 제목에 표현된 이름 없는 마음을 좀 더 깊이 있게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더라면 어땠을까. (물론 내가 순문학을 읽는 데 서툰 탓도 크겠지만 말이다.)


-------------------

문학을 사랑하는 우리는 선뜻입니다.

선뜻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unddeu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