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담장 넘어 도망친 도시 생활자 - 도심 속 다른 집, 다른 삶 짓기
한은화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파트. 내 집. 나 뿐만이 아니라 대한민국, 아니 전세계인 모두가 갈망하는 것이다. 맘 편히 내 몸을 뉘울 수 있는 공간. 다른 곳도 피차 마찬가지이겠지만은 특히나 우리나라는 날로 치솟는 집값 때문에 내집마련의 방법은 점점 더 묘연해져가고 있다. 나는 어렸을 때 마당이 딸린 집에서 살고 싶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누군가가 단독주택에 살래, 아파트에 살래라고 하면 망설임없이 아파트라고 답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파트가 비싸고, 좋고, 그리고 남들이 보기에도 번듯하고 멀끔해보이니까. 그런데 정말 나는 아파트에 살고 싶은 게 맞을까.

작가와 작가의 반려자는 참으로 무모한 길을 걷는다. 남들과는 아주 다른 길. 서울 한복판에서 한옥에 살고자 하는데, 그들을 무모하다고 하는 이유는 그들이 자산 100억을 소유한 부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이 그러한 가시밭길을 걷는 이유는 단 하나. 마음에 드는 집에 살고 싶어서. 그들이 원하는 집의 형태가 뭐 엄청나게 거창한 것도 아니다. 그저 집 안에 햇빛이 드는 야외공간이 있으면 좋겠다는 것 뿐이다. 생각해보면 그들이 100평짜리 공간을 원한 것도 아니고 기상천외한 건축을 원한 것도 아니지만, 아파트민국인 우리나라에서 그건 어쩌면 차라리 100평짜리 집을 찾는 게 더 쉬울 수도 있을 법한 일이다.

그들이 택한 한옥은 참으로 어렵고 복잡하고 예민하다. 집을 짓는데도 제대로 마음처럼 흘러가는 일이 단 한 개도 없다. 내가 책을 읽으면서 놀랐던 것은 정부가 규정하는 한옥이 전통에만 머물러 있으며, 한옥의 규정을 현대화에 발 맞춰 변화시킬 생각은 눈꼽만큼도 없고, 정부는 직접 한옥에 살 건축주가 편한 것보다는 잠깐 그 앞을 지나가는 외부인이 그 한옥을 보고 어떻게 느낄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이다. 그런데 단 5초 보고 말 타인의 시선이 더 중요해 건축주의 편의는 뒷전이라는 사실이 놀랍고, 그 모든 것이 문서로 명시되어있다는 게 웃기기까지 했다.

참으로 어렵고 복잡하고 예민한 과정을 거쳐 그들은 결국 한옥집을 얻게 되었다. 아늑하고 편안하고 심지어 다정하게까지 느껴지는 한옥집 사진들을 보면 나도 저런 곳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정말로 어떤 집에 살고 싶을까. 그냥 아파트이면 될까? 나는 어렸을 때 테라스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나는 바깥바람 쐬는 걸 좋아하지만 집도 굉장히 좋아하는 모순적인 집순이이다. 그런 모순은 작가와 작가의 반려자가 생각한 것처럼 집 안에 외부 공간만 있으면 해결되는 문제이다. 나도 내가 진정으로 원하고 꿈꾸는 공간에서 내 인생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