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적 책읽기 두번째 이야기 - 읽고 정리하고 실천하기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생산적 책읽기는 자신이 선택한 책과 자신과의 소통의 방법을 찾아가는 방법을 설명해준다. 오랜 시간 동안의 작가만의 노하우를 통해 다양한 방법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절대로 나는 다독을 하는 독자도 아니고, 지금까지 책을 많이 읽지 않아 근래에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는 독자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책을 읽으면서 집중이 잘 되는 책도 있고, 집중이 잘 되지 않아 애를 먹이는 책도 있다. 그러면서 어떻게 하면 책을 잘 읽을 수 있을까가 첫 번째 고민이었고, 읽고 싶은 책을 어떻게 선택할까 하는 것이 두 번째 고민이었다. 두 가지의 고민은 잘못된 책을 읽을 때 마다 반복되어 와서 무엇인가 해결책이 필요하던 차에 만나게 된 “생산적 책읽기”는 나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생산적 책읽기”에서 주로 말하는 것은 책선택의 노하우나 책읽기의 방법들 중 여러 가지가 소개된다.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 포스트잇을 활용하는 방법 등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이 많다.
하지만 작가가 주로 강조하고 전달하고 싶어하는 것은 “독서정신”으로 생각된다. 사람들이 책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그리고 그 다양한 이유들이 독서정신이 될 수 있다.
다양한 독서정신만큼 다양한 책읽기의 방법이 존재할 것이고 독서정신이 존재하는 책읽기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생산적 책읽기를 재해석한 나름대로의 의미이다. 작가의 책을 읽는 방법을 참고는 하지만 생산적 책읽기는 독자에게 달려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 자기계발 도서를 읽으면서 중요한 부분에 필기하고, 나중에 다시 읽을 부분을 기억하고, 그 내용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 적기 위해 포스트잇 일정량을 책표지 안에 붙여놓고 다니면서 읽은 적이 있었다. 생산적 책읽기의 내용 중 유사한 부분이 있어서 “아! 이런거구나. 필요하니 스스로 방법을 찾는 것을 말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내용 및 목적에 따라 독자 스스로 그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책읽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독서정신이 더욱 중요한 것 같다.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에 책을 통해 어떤 “사고”를 할 수 있다면 더욱 생산적이고 좋은 책읽기를 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그 사고를 통해 본인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면 그 독자는 어떤 방법을 취했던 가장 생산적인 방법으로 책을 읽은 것이다.

생산적인 책읽기의 방법은 독자 자신이 취하고 있는 방법이 가장 생산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