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사의한 V양 사건 초단편 그림소설 1
버지니아 울프 지음, 고정순 그림, 홍한별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중 속에서 혼자라고 느끼는 것만큼 쓸쓸한 일은 없다고들 말한다. 이런 주제가 소설에도 종종 나오는데 역력한 비애감을 담곤 한다.”

버니지아 울프는 주제를 선언하고 짧은 이야기를 시작한다. ‘런던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라고 단언하지만 누구나 안다. 150년 전의 런던이든 2024년 현재의 한국 어디든, 아니 어느 시대 어느 곳에서든지 일어나는 일임을.

어떤 이유에서인지 V양은 ’촘촘히 짜인 인간관계의 그물망에서 떨어져 나가고, 모두에게 영영 걸러지는 존재가 되고 만다‘. 사람들이 모인 곳에 V양도 늘 함께 있지만 그들은 그림자나 가구 같은 존재일 뿐이다. 마주치면 살갑게 안부를 묻지만 그 이상은 없는 관계.

V양과 마주치면 인사를 나누는 ‘짧은 연극’을 해왔던 ‘나’는 더는 V양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무언가’가 없어졌다. 불편한 마음이 불면으로까지 이어진 ’나‘는 그림자를 만나러 가기로 한다. 그림자를 만날 수 있나, 이 만남을 준비하는 것을 허황되게 생각하면서.

V양의 부재에 허전함을 느낀 ‘나’ 조차도 회색 그림자, 가구, 커튼, 벽에 걸린 그림, 무언가로 그녀를 칭한다. 결혼하지 않은 여성에게 권리도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던 그 시대가 그랬듯이 V양은 이름도 불리지 않은 채 희미한 그림자로 거기 있거나 없다.

“지금 의자를 쳐서 바닥에 쓰러뜨려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그러면 적어도 아래층 사람은 내가 살아있다는 걸 알겠지.”

소설 속 화자인 ’나‘는 군중 속에서 소외되고 무시받는 운명을 끔찍하게 여기며 이렇게 말한다. 내가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올리고 글을 쓰는 것도 의자를 쓰러뜨리는 것일까. 사람들 앞에서 웃으며 인사하지만 그 이상의 관계는 없는 생활. 런던처럼 발전된 도시가 아니라도 고립될 수 있다. 군중이 있어서, 군중이 없어서. 짧게든 길게든 소외와 고독을 느끼는 건 누구에게나 있는 일이다.

고정순 작가의 그림에는 ‘역력한 비애감’이 잘 묻어난다. V양과 V양의 언니인 듯, V양과 나인 듯, 당신과 당신인 듯 쓸쓸하고 아름답다. 그림만으로도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고정순 작가의 그림 전시회에 초대된 것 같다. 게다가 작가의 짧은 소설 <이름이 되어>가 이어지며 이 땅에 발 붙인 이름 없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계속된다. 나무의 이름을 모르는 ’내‘가 모르는 여성 노동자들의 이름을 부르며 얼굴을 떠올리는 이야기다.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속 비애감은 고정순 작가를 통해 삶의 고독을 끌어안는 농담처럼 다가왔다. 곰팡이 냄새와 화장품 냄새와 벚꽃 향이 나는 이야기가, 그림이 오래도록 책을 매만지게 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