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의 법칙 - 마음을 훔치는 뇌호르몬의 비밀
한경아 지음 / 일상이상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주변에 보면 항상 이런 케이스가 있다.
자신만을 좋아해주는 남자에게는 일절 매력을 못 느끼고
자신에게 별로 관심없고 무뚝뚝한 남자에게는 상처를 받으면서도
계속해 마음을 표현하고 주위에서 맴도는 여자.

 

솔직히 이런 케이스의 사람들을 보면 참 안타깝다.
뭐, 그들의 입장에서는
이 힘든 과정 또한 사랑을 위한 하나의 단계라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어쨌든 지인으로서 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해보면, 참 뭐하다.
왜 사랑해주는 사람을 놔두고 사랑하는 사람을 택하는 것일까?
사랑하는 사람을 갖고자 하는 마음의 열망은 누구도 막을 수 없을테지만
그냥 그런 그녀들을 바라보고 있자면, 너무도 가슴아픈 짝사랑에 괜히 안쓰러웠다.

 

연애를 하면서 많은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겪는다.
연애에 있어서 능통하다는 사람도
누구하나 그것을 타고나서 잘 하는 사람도 없고
그렇다고 책을 통해서 연애박사가 되는 사람도 없다.
다들 이론에는 능숙할지 몰라도 실전에서는 쑥맥들이니 -
뭐든지 다 경험을 통해 얻는 것이라 생각한다.
경험을 통해 실수를 반성하고 다음에는 더 잘하게 되고 신경쓰게 될 수 있으니까.

 

누구나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을 읽고 싶고 파악하고 싶어서
주위에 조언을 구하고 책을 찾아보고 고민하고 생각하고..
사랑이라는 감정때문에 이 같은 일을 많이도 해봤을 것이다.
그런데 책에 나오는 연애, 사랑이라는 것은
너무나도 맹점이 많아서 모두에게 다 통하는 내용이 아니다.
A에게는 통하는 방법이 B에게는 씨도 안 먹히는 일들이 대다수였다.
그렇기에 책으로 보는 연애는 그저 아주 조금의 도움? 정도로만 생각했다.

 

사랑할 때 나온다는 4가지 호르몬 -
아 그렇구나, 인간에게서는 그런 호르몬이 나오는구나.. 했었던
호르몬들이 이제 사랑할 수 있는 방법과 상대를 고를 수 있게 도와준다.

 

에스트로겐, 도파민,테스토스테론,세로토닌의 호르몬들이
나와 호르몬이 맞는 사람을 가려내주기 때문에
있는 나 그대로를 사랑해 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날 수 있게 해준다.

 

맞다, 이상하게 끌릴 것 없는 사람인데 괜히 매력적으로 보이고
그 사람의 모든 행동에 감탄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 나의 마음이 이상해서 왜 그럴까 싶었는데,
호르몬때문에 그런 마음이 들었다고 생각하니 후회막심이다.
나와 호르몬으로서 딱 맞는 상대임을 알았다면 좀 더 신경쓸 걸 하는 마음 때문이다.

 

그냥 남녀관계는 하나의 느낌으로 통한다고 생각했다.
호르몬이 맞는 상대를 찾아 만나야 내가 편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걸 이제는 안다.
소위 딱딱한 용어, 호르몬에 관한 이야기는 잘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
이 책은 아주 쉽게 소설같이 풀어내어 이해하기에 아주 좋을 것 같다.
그러고보면 역시 연애라는 것도 단순하지만 어려운 것이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