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망인'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처음으로 제대로 배웠을 때의 충격이 떠오른다.
부부 중 남편이 먼저 죽고, 아내가 살아 있는 경우에 '미망인'이라는 용어가 쓰이고는 한다.
그 부인을 지칭하는 표현이 '미망인'인데,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쓰이고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놀랐었다.
"남편이 죽으면 아내는 살아갈 이유도 없고, 죽어야만 하는데 못 죽고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언어의 권력을 잡고 있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단어들은 사람들의 사상을 조종하고 생각보다 쉽게 세상을 지배하기도 한다.
의식이 바뀜에 따라서 물론 언어는 바뀐다.
'미망인'이라는 단어가 이제와서는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로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언어 속에 담겨 있는 권력과 힘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차별과 불공평함이 가득 담겨 있지만,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그 의미를 깊게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단어들을 찾아낸다.
그리고 그걸 통해서 우리의 언어 생활을 바꾸도록 스스로 힘을 내게끔 만들어 준다.
예를 들어 나이에 따른 위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한국 사회는 그 모습을 언어에 잔뜩 담아 놓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조차도, 자신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누가 나이 많은지, 누가 어른인지를 따지지 않지만 한국어를 배울 때는 내가 형이고 언니이고 누나이고 오빠인지를 가장 먼저 따지고 든다.
그걸 보면서 웃기다고만 생각했었는데, 이 책을 보면서 생각해보니 정말 희한한 광경이었다.
나이로 권력을 가지고 그것을 언어로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조금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간다는 거창한 목표를 달고 말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내 안에 있는, 그리고 우리 안에 있는 편견과 차별을 줄여가기 위해서라도 철저한 높임법에 맞춘 언어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에 대한 생각도 들었다.
내가 평소에 사용하는 말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는 계기를 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