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우리 집에 온 길고양이 카니
문영미 지음, 이광익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친구네 집에 놀러간 아이가 친구가 키우던 햄스터랑 강아지 이야기를 했어요.

우리집에서 키우면 안되냐고? 개인적으로 동물을 안좋아해서 딱잘라 안된다고 했어요.

사실 애완동물 키우는게 이만저만한게 아니라 그리고 날리는 털, 용변처리도 한몫했구요,

아이가 딱 잘라 말하는 엄마를 보더니만 입이 삐쭉삐쭉이었답니다.

저도 물론 어렸을 때 개를 키워본적이 있어요. 그땐 마당이 있어 집안에서 키우지 않고 자유로이 풀어 키웠지요.

늘 애완동물에 미련이 남아있는 아이에게 그나마 위안에 될 책이 왔네요.

햄스터, 강아지는 아니지만 귀여운 고양이이야기...

지민이에게 어느날 길고양이 새끼 한마리가 오게되면서 지민이네는 길고양이 카니와의 동거가 시작되요.

카니와 생활하면서 고양이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되지요.

또한 길고양이를 도둑고양이라부르는 친구들에게 따끔한 경고도 하고

고양이에 대한 애정도 담뿍 늘어간답니다.

지민이의 길고양이 카니 키우기는 과연 어찌될까요??

이 책은 고양이와 함께 하기 위해 친해지는법, 아플때 병원가기, 배변훈련, 중성화 수술 등등..

다양한 고양이 기를때 필요한 정보를 동화와 함께 수록되어져 알찬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고양이의 모습을 보고 고양이의 기분을 알수 있고 고양이가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질병,

고양이의 긁기 본능, 개와 고양이의 차이점, 고양이가 좋아하는 것들, 고양이에게 해선 안될 것들 등

유용한 정보들을 볼 수 있어 울 아이들도 좋아했어요.

비록 집에서 키우진 못하지만 언젠간 꼭 애완동물을 키우고 싶다는 울 큰딸에겐 더없는

좋은 지식책이었다고 할 수 있었는데요,

가끔씩 밤에 아파트 단지안에서 울고 있는 고양이를 보면 도둑고양이라 말했던 저또한  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조금은 나아질것 같네요.

그리고 절대 도둑고양이라고 부르지 않기로 아이와 약속했답니다.

'고양이 키우기'가 아닌 '고양이와 함께 살기'에 관한 책이라는 작가님의 말씀~ 아이들과 꼭 기억하기로 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 살려! - 우리문화 이야기 - 마을과 집안을 지키는 신 노란돼지 창작그림책 12
무돌 글.그림 / 노란돼지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희 친정은 따로 제사를 드리지 않지만 설이나 추석이면 상을 차리세요.

할아버지 할머니의 상인데 그 옆에 작은상하나를 더 차리신답니다..

성주님 젯상이지요. 

어려서 부터 성주 젯상을 본 터라 집안을 지켜주는 성주신은 잘 알고 있더랬죠.

그러고 보니 우리나라는 많은 신들이 있는 거 같네요.

마을 어귀에 있는 장승, 도깨비, 삼신할미, 당산나무신 등.. 저는 몇가지를 알고 있는데..

울 아이들은 아직 잘 모른답니다.

마을과 집안을 지키는 신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 책이나와 살펴보게 되었답니다.

사실적이고  해학이 넘치는 그림부터가 확 사로잡는 우리문화 그림책

"도깨비 살려!"~

표지부터가 흥미를 팍팍 느끼게 해준답니다.

우리 이야기중 도깨비 이야기는 많죠? 그만큼 도깨비는 아이들에게도 친숙한데요,

울 아이들도 떼쓰거라 울때 도깨비가 잡아간다 하면 눈물을 뚝 그치곤 한답니다.

그런 무서운 도깨비를 혼내주는 우리의 신들의 이야기가 실려있어 아이도 흥미롭게 보더라구요.

100년도 지나 사기그릇이 도깨비가 되어 마을의 구수한 메밀묵을 먹기위해 

당산나무 할머니의 만류도 뿌리치고 마을로 가지요.

가는 도중 솟대들도 만나고 장승을 만나 해가 뜨는지도 모르고 씨름을 해요.

해가 뜨면 도깨비는 다시 사기그릇이 되지요.

그런 도깨비를 아이가 주워 마을 안 집으로 가지고 가요.

할머니께 들킨 아이는 도깨비 사기그릇을 부엌에 숨기고,

밤이 되자 도깨비는 맛있는 음식을 찾기 시작하면서

부엌지킴이 조왕신, 집의 땅을 지키는 터줏대감, 아이를 돌보는 삼신할매, 지킴이의 대장 성주대감,

재산을 지키는 업신, 뒤뜰을 지키는 철융 등등..

집을 지키는 신들에 쫓겨 결국 마을을 떠나 도망치게 된답니다.

책에는 민속 신앙의 다양한 신들이 소개되어 무척이나 저나 아이들 모두에게 흥미로웠는데요,

모르고 있던 집안을 지키는 신들이 이렇게나 많은 줄 처음 알았답니다.

조상들이 섬겼던 많은 신들... 지금은 민속 신앙이 많이 퇴색되기도 하지만 아마도 지금도 우리집 어디에

집을 지키는 신들이 함께 하고 있지는 않을 지...^^

장난꾸러기 도깨비와 함께 우리의 신을 만난 재미를 솔솔 느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