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맨발
한승원 지음 / 문학동네 / 1998년 2월
평점 :
품절


생의 깨달음이란 무엇일까.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는 하루에도 수십 만종의 책이 쏟아지고 수많은 이론들이 그 기세가 무서울 정도로 성행한다. 그러나 현대인의 의식은 점점 혼란스러워지고 가치 판단의 기준조차 제대로 갖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불교는 오직 '깨달음'이라는 하나의 화두만으로 인생의 희노애락, 생과 사까지 모두 끌어안는 큰 가르침이다. 싯타르타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면면히 내려져 오고 있는 스님의 이야기들은 깨달음을 위한 구도가 얼마나 험난하면서도 거룩한 대장정인지를 자연스럽게 알게 해준다.

'스님의 맨발'은 재미있는 일화와 그림, 사진으로 잘 알 기회가 없었던 스님들을 생생하게 현실에 재현한다. 최초의 스님에서부터 시작하여 중국에서, 한국의 여러 시대 속에서 이처럼 큰스님들이 많았다는 것이 색다른 즐거움으로 우리를 책 속으로 이끈다. 때로는 유쾌한 장난으로, 엄한 꾸중으로 또 때로는 직접적인 행동으로 제자들을 이끌었던 스님들. 참다운 삶과 마음의 탐구를 가르치셨던 그 스님들은 바로 우리 시대의 살아 있는 스승이다. 가난한 육체로 태어나 가난한 마음으로 모든 것을 내어주던 스님들은 실은 가장 풍요로운 우주의 모습을 보여주신 것이 아니었을까.

제일 사랑하던 제자 가섭이 오자 입적하신 석가모니의 맨발이 갑자기 관에서 뛰쳐나왔다고 한다. 스님의 맨발이야말로 한 평생 걷고 걸어 온 구도의 증거였다. 스님의 깨달음은 육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육체를 살리는 것이며, 삶을 미워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사랑하는 것이었다. 스님의 맨발은 바로 삶을 사랑하는 진정한 구도자의 표상이다.

또한 이 작품에 등장하는 많은 스님들은 그 가르침과 활동이 조금씩은 틀리다. 그러나 세상에는 한 길이 아니라 중첩된 수많은 길이 있지 않은가. 깨달음 또한 그에 이르는 궁극점은 같더라도 살아 있는 생명 수만큼의 길이 나 있을 것이다. 모처럼 열린 마음으로 내 안의 화두를 들여다보게 해주는 '스님의 맨발'. 문득 일상에서 벗어나 스님들의 자취가 묻어 있는 산사로 달려가고 싶은 건 비단 혼자만의 생각 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