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등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정신대출신의 어머니를 둔 민혜주. 빨갱이 집이란 소리를 들으며 자란 서영우. 친일파로 부를 쌓아왔던 집안의 노상규.눈 오는 날 외등아래에서 사랑하는 여자. 혜주를 그리워하다 동사한 서영우의 바다같은 사랑.그 사랑에 배신이란 이름의 다른 사랑으로 서영우를 사랑했던 민혜주.그러한 민혜주를 긴 세월동안 차지하기 위해 애쓰다 결국 아내로 맞이한 집착의 사랑. 노상규.엇갈리기만 한 그들 세사람의 사랑은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다.

1970~90년대.30년간의 역사의 굴레 속에 갇히어 살았던 그들 세사람의 사랑이라는 것은 증오,혼란. 그 자체였다.역사와 사랑 속에서의 세사람의 몸부림은 안타까움마저 불러 일으켰고 그뒤에 죽음이 있었다.왜 저렇게 살아야만 했을까.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었나.박범신님이 세사람의 삶을 따라가면서 우리에게 말하고 싶어했던 것은 사랑의 원형 찾기였다.

사랑의 원형. 본질. 뜻. 의미가 무엇인지 이번을 기회로 자신에게 한번 자문해 보자.나는 사랑을 해봤나?헤어진 사람이 내가 지금까지 살면서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인가.오늘 만나 데이트하기로 한 그 사람이 내 진정한 사랑인가.아니면 경험은 없지만, 머리 속에 그려놓은 사랑이 정말 사랑인가.아마. 1.2초안에 대답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항상 우리는 사랑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사랑에 이물질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온전한 사랑인지는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

외등의 주인공 세사람에게 험난한 시대적 혼란기 30년이 없었다면, 그들의 사람은 아마 우리 모두가 생각하고 있는 사랑의 원형을 가졌을 것이다.온전한 사랑만을 우리는 하기가 힘들다.그사이엔 역사가 끼어 들고, 생각지 못한 불행이 도사리고 있고 또다른 나 자신의 혼란도 같이 한다.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사랑은 국어사전의 사랑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가지 파편에 의해 상처를 입는다.사랑의 기쁨에 아픔과 슬픔. 배신. 죽음이 함께 하는 이유가 그것 때문이다.박범신님의 사랑의 원형이란 것이 이런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