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야의 이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7
헤르만 헤세 지음, 김누리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건 참 나쁜 습관이기도 한데 책을 읽을 때마다 나는 그 책과 관련이 있는 다른 책을, 다른 주인공을, 다른 작가를 생각한다. 황야의 이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나는 전혜린을, 삶의 한가운데를, 무라카미 하루키를, 싯타르타를 생각했다.소설은 나에게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했다. 심지어 헤세는 죽음이 실제적으로 갖는 의미보다 더 과장된 의미를 나에게 가져다 주었다. 소설에는 황당하게도 괴테와 모차르트를 글 속에 들여와서는 주인공인 하리와 말을 하며 폭스트롯, 왈츠, 보스톤을 추며 창녀와 사랑을 하고 살인을 한다.

나는 원래 몇몇 소설의 끝부분에 있는 평론가들이 쓴 평론을 주의깊게 읽는 편이 아니다. 그이들은 소설을 전공한 사람들로서 번역이 아닌 원문으로 문학작품을 읽고 소설을 읽는 비평하는 법을 전문적으로 습득하였다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내가 황야의 이리를 이해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해서 평론을 읽었을 때 히피들이 헤르만 헤세에 열광했다는 사실을 기술해 놓아 적잖게 당황했었다. 반전 사상, 속물들에 대한 위선적인 생활에 대한 비판, 환각이라는 세계의 형상화... 황야의 이리는 그런 특징이 있었던 것이다.

읽는 내내 시대적인 배경을 짐작하지 못하였다. 물론 반전주의, 재즈, 춤 이야기, 등 어느 시기이겠구나 충분이 상상할 수 있도록 시대적인 배경을 설정해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헤르만 헤세가 나와 거의 비슷한 시기를 살았었다는 것을 자각하지 못했다. 마치 상실의 시대의 나오코와 와타나베가 80년대 후반이나 90년대 초반의 애들이겠거니 라구 상상했던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 이유를 평론을 읽고 나서 알았다. 헤세가 보편성에 크나큰 역점을 두고 지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채 애써 시대적인 배경을 파악하려 한 것이다.

이성을 입장료로 지불해야 한다는 구절을 읽었을 때 머리가 곧추 선다고나 할까? 아무튼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말을 할 수가 없었다. 이성을 입장료로 지불해야 한다. 말하기 약간 부끄럽기도 하지만 어떤 충격을 넘어서 똑바로 쳐다볼 수 없는 관능미를 내뿜는 여인을 보는 것 같았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