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김영욱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김영욱,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교보문고, 2010.


신선하다. 그리고 재미있다. 가을을 타는지, 나이를 먹는지 모르겠지만 사실 나는 요즘 매사에 자극을 못 받고 무미건조하게 살고 있었다. 자극이 안된다. 무덤덤하다. 이러한 기분이 보다 울적함으로 바뀌는 밤이면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고 하염없이 괴로워하고는 했다. 이러던 찰나에 내 호기심을 자극하는 상큼한 책을 발견했다. 바로 이 작품,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이다.
일단 삽화가 있는 책은 반갑다. 뭐랄까? 책장이 쉽게 넘어가니까 기분이 좋다. 물론 이 책은 책장이 쉽게 넘어가서 좋기도 했지만 종내에는 더 보고 싶다는 마음에 아쉽기도 했다. 사실 그림책- 난 아직도 그림책과 동화책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기는 한다 - 은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는 접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몇몇 작가가 있기는 하지만 김영욱 작가가 소개한 작가들 틈에서 그 이름을 찾을 수는 없었다. 그렇다고 작가의 지극이 개인적인 취향에 맞는 작가만 소개하는 편협한 글이냐? 그건 그렇지 않다. 일반인, 구체적으로는 나와 같은 그림책 문외한에게 숨겨진 보배를 발굴하여 소개시켜주는 귀중한 책이자 나름 훌륭한 소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그 중 책 속의 책인 ‘유열이 된 할아버지’에 대한 소개가 기억에 남는다. (그 외에도 ‘나도 내 방이 있으면 좋겠어’와 ‘그림 속으로 떠난 여행’ 등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그림판 본 사랑과 영혼인 유령이 된 할아버지는 우연한 사고로 할아버지를 잃은 손자의 침실로 할아버지의 영혼이 찾아오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러면서도 그림책의 주 독자층인 어린이들에게 까다로운 소재인 죽음과 영혼이라는 문제를 심각하지 않게, 담담히 보여주기 위해 그림체에 많은 신경을 썼다. 내용과 관련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파스텔톤의 부드러운 색조를 썼다는 작가의 설명은 그럴 듯 했고, 그림책 작가의 숨은 따뜻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인이 알기 어려운 작품의 창작 의도와 숨겨인 배려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