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네안데르탈인, 아오 - 소설로 읽는 3만 년 전의 인류사 에듀 픽션 시리즈 8
마르크 클라프진스키 지음, 양진성 옮김 / 살림Friends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크 클라프진스키, 양진성 역, 『마지막 네안데르탈인, 아오』, 살림출판사, 2010.

 

 

어떻게 이런 발상을 했을까? 이 책 참 기발하고 재미있다. 나보고 소설로 읽는 3만 년 전의 인류사를 쓰라며 네안데르탈인을 다루라고 한다면 ‘우어~ 우오! 크르릉~ 어어우! 와아~ 우와아가각 푸르르! 삥빵삥빵!’ 이런 식으로 200여페이지를 채웠을 것이다. 소설이 반쯤 허구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엄연히 개연성 있는 허구가 아닌가? 우오! 라고 쓰고 난 배가 고프다 라고 읽을 수도 없는데, 이 의사소통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다가 글 한줄 못적고 말았을 것이다. 그런데 작가 마르크 클라프진스키는 이 문제를 기가 막히게 해결했다. 내가 스포일러가 되는 듯하지만, 작가는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이자, 주인공인 아오가 말을 못하다가 말을 할 줄 아는 종족과의 접촉과 그의 총명한 머리와 센스로 이를 해결하게 만든다. 그렇다. 그네들은 우리가 생각하듯 단순히 원숭이 수준에서 겨우 벗어나서 과일이나 따먹고 수렵이나 하던 원시동물이 아니었던 것이다. 역사가 있기 전, 그들은 만나고, 사랑하고, 생존했고 결국 우리에게 역사가 된 것이다.

사냥꾼이자 곰인간인 아오는 사라져버린 그의 동족을 찾으러 길을 떠나다가, 아키 나아를 만난다. 아키 나아는 호수 부족인간 중에서도 독특한 캐릭터인데 아이를 낳고, 자신의 주장이 강한 여성이다. 사냥꾼 남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오를 데리고 그들의 종족이 사는 마을로 들어가지만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갈등을 풀어나가며, 결국 아오는 인정을 받지만 자신의 동족을 찾기 위해 길을 떠나는 내용이 주된 내용이다.

이 작품이 기발하고 재미있는 이유는 단순한 플롯 문제가 아니다. 그 속에 묘사되어 있는 생생한 묘사가 정말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구석기 시대 초기 단계에서의 단순한 돌 조각의 무기에서부터 도구를 사용하여 날카롭게 벼른 무기까지의 묘사. 인물들이 치장하고 있는 장신구들도 그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따라 짐승의 이빨을 걸기도 하고, 둥글거나 날카롭게 갈아서 치장하기도 한 점을 충실히 반영하여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이는 역사적 지식이 충분히 뒷받침 되지 않고는 쉬운 일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