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구 - 그때 우릴 미치게 했던 야구
시게마츠 기요시 지음, 김대환 옮김 / 잇북(Itbook)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게마츠 기요시, 김대환 옮김, 『열구』, 잇북, 2010.

 

 

오랜만에 좋은 책을 읽었다.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기대하고 책장을 넘겼지만, 다소 느린 템포에 기대감이 반감되었던 첫 부분, 야구의 흥미진진함보다는 인생의 깨달음이 잔잔한 감동과 함께 조용히 밀려온 중간 이후 부분. 가볍게 들뜨고 쉽게 식어버리기보다는 뚝배기처럼 묵직한 감동과 오랜 시간의 감동을 은은하게 전해주는 기분 좋은 작품이었다.

이 책은 단순히 유년 시절, 청년 시절의 추억을 갖고 있는 중, 장년층만 독자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꿈이 있고, 이를 실현하건 실패하건 한때 꿈이 있던 모든 이들에게 충분히 가슴 울림을 줄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부제는 ‘그때 우릴 미치게 했던 야구’이다. 내게는 그것이 꼭 야구가 아니어도 상관없었다. 단지 ‘그때 나를 미치게 했던 그것’이 존재했음이 중요했다. 일본의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인 고시엔. 일본에서 야구를 하는 모든 이들의 꿈이다. 별볼일없는 실력을 가졌으나 간절한 염원과 행운의 여신 덕분에 고시엔 문턱까지간 야구부. 그리고 선발투수였던 에이스 아버지가 딸에게 그 당시의 이야기를 전하며 시골로 돌아가 생활하는 이야기가 병렬적으로 전개된다. 흥미진진할 만할 때 쯤이면 어김없이 현실 이야기로 돌아가 이야기의 화제가 바뀌는데 그렇다고 아쉬워할 것은 없다. 시골로 돌아갔을 때 어릴 적 친구를 만나게 되는데 이 또한 유년 시절과, 야구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꿈을 잃고 식당을 운영하고, 꿈이 없어진 것을 자책하며 죽음을 선택하기도 하고, 실패한 꿈을 잊기 위해 고향을 떠나기도 한, 이들은 모두 같은 추억과 같은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이들이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작품은 해피앤딩이다. 요즘 이슈가 되고, 논란이 되는 한 영화의 결말과 마찬가지로 해석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난 개인적으로 그 영화나 ‘열구’ 모두 해피앤딩으로 본다. 좋은게 좋은거니까. 그렇지만 야구에 우승하고, 뒤늦게 꿈을 이루고, 모든 것을 성취하는 등으로 끝나지는 않는다. 그랬다면 다소 재미가 떨어졌을 것이다. 인생은 미래가 있고, 희망이 있을 때 더 의미있고 행복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