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우 블랙잭 3 - 베이비 ER (상) 편
슈호 사토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이 만화의 제목인 헬로우 블랙잭(Say hello to Blackjack)은 일본의 유명한 의료만화인 '블랙잭'에 받치는 찬사이자 오마쥬인듯하다.

 
<의룡>, <닥터 코토 진료소> 등의 다른 의료만화가 대부분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주인공이 어려운 질병을 치료하는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부각시키는데 반해 이 만화는 인턴인 주인공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 사회의 의료의 문제점을 찬찬히 고민하게 만들고, 생명과 질병에 대해 한번 고민해보게 만든다.
 
이 작품을 단순히 시간때우기용으로 고르려고 한다면 이 작품은 확실히 별로다. 하지만 이 작품을 선택하려는 당신이 의료계에 일하는 사람이거나, 생명과 윤리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 작품은 최고의 작품이다.
 
일본에서는 출간 당시 엄청난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일본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슬램덩크의 판매부수를 넘어서는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으며,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라는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츠마부키 사토시가 주인공 사이토의 역할을 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로우 블랙잭 2 - 순환기내과 편
슈호 사토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이 만화의 제목인 헬로우 블랙잭(Say hello to Blackjack)은 일본의 유명한 의료만화인 '블랙잭'에 받치는 찬사이자 오마쥬인듯하다.

 
<의룡>, <닥터 코토 진료소> 등의 다른 의료만화가 대부분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주인공이 어려운 질병을 치료하는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부각시키는데 반해 이 만화는 인턴인 주인공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 사회의 의료의 문제점을 찬찬히 고민하게 만들고, 생명과 질병에 대해 한번 고민해보게 만든다.
 
이 작품을 단순히 시간때우기용으로 고르려고 한다면 이 작품은 확실히 별로다. 하지만 이 작품을 선택하려는 당신이 의료계에 일하는 사람이거나, 생명과 윤리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 작품은 최고의 작품이다.
 
일본에서는 출간 당시 엄청난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일본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슬램덩크의 판매부수를 넘어서는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으며,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라는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츠마부키 사토시가 주인공 사이토의 역할을 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로우 블랙잭 1 - 제1외과 편
슈호 사토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이 만화의 제목인 헬로우 블랙잭(Say hello to Blackjack)은 일본의 유명한 의료만화인 '블랙잭'에 받치는 찬사이자 오마쥬인듯하다.

 
<의룡>, <닥터 코토 진료소> 등의 다른 의료만화가 대부분 천재적인 재능을 지닌 주인공이 어려운 질병을 치료하는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부각시키는데 반해 이 만화는 인턴인 주인공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 사회의 의료의 문제점을 찬찬히 고민하게 만들고, 생명과 질병에 대해 한번 고민해보게 만든다.
 
이 작품을 단순히 시간때우기용으로 고르려고 한다면 이 작품은 확실히 별로다. 하지만 이 작품을 선택하려는 당신이 의료계에 일하는 사람이거나, 생명과 윤리문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 작품은 최고의 작품이다.
 
일본에서는 출간 당시 엄청난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일본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슬램덩크의 판매부수를 넘어서는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드라마로도 제작되었으며,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라는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츠마부키 사토시가 주인공 사이토의 역할을 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에릭 J. 카셀 지음, 강신익 옮김 / 들녘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환자를 치료하는 이론적 기반이 되는 의학, 의학이 환자에게 적용된 의술, 의술과 의학의 사회, 제도적 측면인 의료. 이 삼박자가 잘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다.

 
데카르트의 정신과 육체를 구별하는 이분법적인 철학 이후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의학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영유아사망률과 전염병 발병률이 눈에띄게 낮아졌고 인간의 수명은 중세 때의 2배가 넘는다. 하지만 사스, 조류독감, 슈퍼 박테리아 등 인류를 위협하는 전염병은 여전히 존재하며, 엄청난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우리 인간은 감기같은 흔한 질병 앞에서조차도 나약한 존재이다.
 
이 책은 과학을 기반으로 발전해온 의학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비판한다. 질병관의 역사적 발달과정, 질병의 개념, 의사와 환자의 관계부터 치료의 목적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아우르면서 현대 의학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미국에서 1994년에 씌여진 책이지만 지금의 의료의 모습에 여전히 유효하며, 의학을 하는 학생의 한사람으로서 그것이 마음아프다.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한 의사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는 의학도나 의료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의료인이라면 반드시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다만 조금 아쉬운점이 있다면 군데군데 번역이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눈에 띤다.
 
더불어 만화책이긴하지만 현실성과 문제의식을 고루 갖춘 '헬로우 블랙잭'이라는 작품도 더불어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사랑 온천
요시다 슈이치 지음, 민경욱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요시다 슈이치. 아마 요즘 가장 주목받는 일본 작가가 아닐까.
그의 작품 속 주인공은 대부분 연애를 하고 있지만 '이런게 사랑이야'라고 무릎치게 만들정도로 뜨겁지는 않는다.
이번 작품의 주인공들도 마찬가지인데, 모두들 사랑을 하고 있지만 그것이 사랑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요시다 슈이치는 무라카미 하루키처럼 허무와 상실을 관조하지도... 오쿠데 히데오처럼 엉뚱하지도... 아사다 지로처럼 포근히 안아주지도 않는다. 그의 작품을 딱히 말로 정의내리기도 힘들다.
쿨하다고 하기에는 뭔가 좀 뜨뜻미지근하고, 따뜻하다고 하기에는 좀 뭔가 허무하기도 하다. 요시다 슈이치의 소설이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딱히 뭐라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건 아마도 그가 현대인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꾸밈없이 담아내기 때문은 아닐까.

 

 

시게타는 탕 속에 우두커니 선 채로 다리 밑에 가라앉은 타월을 발로 찼다. 마치 꿈속에서 걷고 있는 것처럼 느릿한 움직임. 출렁인 물이 파도가 되어 넘친다. 꿈꾸었던 생활을 겨우 손에 넣었는데, 그곳에 있어 주길 가장 원했던 여자가 없다. 마치 그림을 움직여 맞추는 퍼즐처럼, 아무리 애를 써도 한 곳은 비게 마련이다. 빈 곳이 있기에 움직일 수 있는데, 그 빈 곳 때문에 완성되지 못한다.

-본문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