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드라마 <추노>를 재밌게 보았다. 중심이 되는 줄거리는 도망노비를 쫓는 이야기였지만, 그 시대적 배경이 소현세자의 죽음과 맞물려 있어 문득 궁금했던 소현세자의 삶! 그런데 내가 찾아보게 된 책은 역사서가 아닌 역사소설이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제거의 대상이 되었던 소현세자의 삶이 역사에 명쾌하게 기록되어 있을리 만무하기에 어쩌면 소설이 더 역사의 진실에 근접해있지 않을까하는 어줍잖은 생각도 한몫했다. 
  그래서 읽게 된 책 <소현>! 책 표지엔 소현세자의 슬픈 눈빛이 담겨 있다. 책장을 열기도 전에 가슴 한켠이 저려온다. 소현세자의 이야기는 말한마디, 행동 하나가 조심스러웠을 청에서의 삶부터 펼쳐지는데, 숨죽여지내야 했던 인질로서의 답답한 삶이 글을 통해 그대로 전해왔다. 
  청에서는 적국의 인질로 파리 같은 목숨을 연명하며 지냈건만, 조선에 돌아와서는 청과 친했다는 이유로 버림받아야 했던 비운의 세자! 심양에서 볼모로 10년을 보내고, 조선으로 돌아왔지만 백성을 위해서 살고자 했던 소박한 욕심과 부국강병과 북벌의 큰 뜻을 펼쳐보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한다. 아비로부터도 버림받아야했던 소현세자의 마지막 모습은 책 표지 그림 속 그 슬픈 눈빛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책의 말미에 작가가 던지는 마지막 한마디. “이제 상상력은 독자 여러분의 몫이다.” 그 말에 책을 덮는 순간부터 내 상상력은 날개를 편다. ‘만약 소현세자가 죽지 않고 조선의 왕이 되었더라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하며 내 맘대로 조선의 역사를 바꾸어 볼 수 있었던 건 이 책이 주는 별책부록이었다. 
  이덕일님의 역사서를 선호했던 내게, 김인숙이라는 작가는 또 하나의 신선한 바람으로 다가온다. 소설가 김남일 씨가 이 책을 보고 “한국어가 이토록 정밀하다면 도대체 번역은 어찌 가능할 것인가 차라리 걱정이 되었다.”고 칭송했던 것처럼 소현세자에 대한 연민의 감정에 취할 수 있었던 데는 김인숙 작가의 섬세한 필체가 한 몫 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오랜만에 참 좋은 역사소설 한권을 만났다. <소현>이라는 이름 두글자를 오래도록 마음 속에 품게 될만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