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공보경 옮김, 케빈 코넬 그림, 눈지오 드필리피스.크리스티나 / 노블마인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일흔살 할아버지로 태어나, 점점 나이를 거꾸로 먹고, 유아가 되어 죽는다? 참으로 재밌는 상상이다. 나이 들어감이 서글플 때, 누구나 한번쯤 꿈꿔보는 "나이 거꾸로 먹기"! 이 사회의 틀이, 이미 "나이 줄어듬"이 아닌 "나이 늘어감"에 맞게 짜여 있기 때문에, 나이를 거꾸로 먹는 돌연변이로 태어나 사는 삶은 분명 고달파 보인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욕심도 많아지고, 미련도 많아지는 노후의 삶에서 인생을 마감하는 것보다, 점점 그 기억을 잃고, 순수한 아기가 되어, 머리도 비우고, 마음도 비워낸 후, 평온하게 생을 마감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편소설의 대가인 F.스콧 피츠제럴드도 그같은 생각을 했던 걸까? 작가 "마크 트웨인"의 말에서 커다란 영감을 얻었다고 하니, 그 또한 나이 거꾸로 먹기를 동경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마크트웨인의 말>
"전지전능한 신께서 인간을 창조하실 적에 내가 그 분을 보조할 수 있었으면 인간이 지금과는 정반대로, 즉 늙은 몸으로 삶을 시작하게 만들었을 겁니다. 늙은 몸으로 태어나 노년의 비탄과 무분별로, 삶을 시작하는 것이 훨씬 나을테니까요! 시간이 갈수록 젊어진다면 나이 먹는 것을 꺼려할 사람은 없을 겁니다. 늙어가는게 아니라 젊어지는 삶을 살게 되니 얼마나 즐겁겠습니까! 여든이 아니라 열여덟 살의 상태로 나아가는 삶을 한번 상상해 보세요. 맞습니다. 신께서는 제대로 일을 해내지 못한 겁니다. 지금이라도 내 도움을 받아주시면 좋을텐데 말이죠."

불가능할 것 같은 상상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것! 역시 소설의 힘이다. 단편 소설이지만, 한 사람의 인생을 온전히 함께하다보니, 그리 짧다는 느낌은 안 든다. 게다가 그림 소설, 만화로 그려진 짧은 소설이라는 '그래픽노블'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내겐 신선했다. 상상 속에선 어렴풋했을 그림을 더욱 명확하게 해주었고, 한편의 영화를 보듯, 손쉽게 영상화 되었다. 실제로 2월에 영화로도 개봉이 된다고 하니, 마음으론 이미 예매를 끝냈다. 내 나이 70이 되었을때, 시간을 거꾸로 돌릴 수 있는 어떤 장치가 꼭 발명되어 있었으면 좋겠다. 나 또한 벤자민 버튼 같은 삶으로 내 인생을 거꾸로 한번 더 살아보고 싶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