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처럼 돈 불리는 마법의 부자되기 72법칙 - 저금리 시대, 부동산, 주식, 돈 불리는 마법의 부자되기 복리 법칙
톰 제이콥스.존 델 베치오 지음, 최은정 옮김 / 북씽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눈덩이처럼 돈 불리는 마법의 부자되기 72법칙

요즘 세상을 살면서 재테크에 대한 책에 관심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도

없지 않을까 싶다.

집값, 물가, 교육비 등 모든것이 오르고 내 월급만 오르지 않는다는 우스개 소리도 있지만

정말 현실은 각박하기만 하다.

예전에는 만원으로 여러가지 살것들이 많았지만, 이제는 만원으로 식사를 하기에도 빠듯할 정도로

​실제 느끼기에 재테크의 필요성은 항상 느껴진다.

적금, 펀드도 조금씩 하면서 월급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투자하려고하지만, 실상 현실은 쉽지 않고..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수익율이 생각만큼 좋지 않은것도 사실이다.


알고 하는것과 모르고 하는것의 차이가 그런거겠지만,

더욱 요즘 절실하게 재테크에 대해 관심도 많고,

소액주주이긴 하지만, 주식도 조금씩 하면서 지내고 있었는데..

이 책이 내가 하고 있는 재테크 법에 대해서, 조금 더 활력을 준다고 해야할까..


책을 펴들면서, 왜 72​ 가지 법칙일까 궁금했는데, 책을 읽다 보니 그 비밀이

풀렸다. 여기서 말하는 72 법칙이라는 것은 복리 계산법을 염두에 두고 나온 말인데,

흔히 말하면, 우리는 계산을 할때, 복리계산법이 익숙하지가 않아서, 복잡할꺼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어렵지 않다.








투자법을 들으니,

어서 열심히 종잣돈을 모아서,

투자를 해야지 싶다.

책 곳곳에도 나오지만, 투자는 일찍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나 쉬운 이야기지만, 실천이 어려운 법..


거창하게 시작하지 않아도, 소액이라도 어서 실천해봐야겠다.


 



앞부분에 72법칙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수학시간에 배웠던 복리계산법을 생각하면 되는데,

만약 1000만원을 적금했다고 하면 이율이 10%일경우, 두배가 되려면 원금의 두배에 도달하는 시기가 10년일꺼라고 언뜻 생각하지만, 사실은 7.2년이 되는것이다.

복리그래프를 보면, 이해가 쉽게 된다.

또한 원하는 이율을 구하려면 그 반대의 방법으로 구하면 되는데..

이렇게 하니, 쉽게 복리의 계산법에 대해 이해가 된다.



 

이 복리계산법의 그래프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된다.

 



20년동안의 10% 이율 그래프를 보면 더욱 놀라게 된다.

시간이 갈수록 더욱 가파른 그래프를 하고 있다.


 



이 책은 젊은이들이 좀 봐야하는데... 하는 생각이 든게

나이에 따라서 돈을 벌수 있는 비교를 해놓았는데

이걸 보고도, 저축을 하지 않을수 있을까..



어른 아이도 기회비용을 설명하면서,

시간관리에다가 경제개념까지 익힐 수 있게

많이 가르쳐야겠구나 싶다.

아직 초등생이지만, 우리애들도 좀 경제개념을 가르쳐서,

저축뿐만 아니라, 자기 시간도 관리할 수 있는

그런 개념있는 아이로 키웠음 좋겠다 그런 생각도 들었다.



 



 



주식은 너무 잘 알지만, 개권은 혼동이 되고 했는데

책에는 채권에 대한 설명이, 주식과 함께 잘 설명되어있고,

시장에서 채권의 역할이나 흐름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명한다.


채권과 주식..

비교되면서, 채권의 장점에 대해서도 설명하는데

우선 주식소유자들보다 회사가 망했을경우, 채권소유자들은 먼저 권리를 보장받는다는 것..


주식 소유자들은 흔히 말하는 회사가 망하면 휴지조각인 주식을 갖는데,

채권은 또 이런 의미가 있다.



또한 공공채권을 경우는 불이행하는 경우가 적어서,

불이익을 받을 경우가 주식보다 약하다.




주식거래를 하면서 배당주에 투자를 하기도 하고 배당금도 받아보았지만,

단지 배당금을 준다는 생각에,

너무 좋게만 생각했는데,

배당주에 대한 설명이 유익했따.

배당금이 그저 감사합니다. 그저 고마울따름 .. 이런 식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배당금이 어떻게 나오는지... 생각해볼 수 있었다.

 



경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야 투자를 알고 돈의 흐름을 알수 있는데

이 책을 읽고 몰랐고 소홀했던 부분들도 많이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투자는 거창하다고 생각하기보다 한살이라도 먼저 일찍 해야한다는것..


끈기를 갖고 서두르지 말고 투자 할것..

돈에대한 사고방식을 새롭게 가져야한다는..

투자, 그리고 돈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