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애 처음 공부하는 두근두근 천문학
이광식 지음 / 더숲 / 2017년 8월
평점 :
내 생애 처음 공부하는 두근두근 천문학-우주를 상상하는 방법을 배운느낌이에요
천문학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천문학 모른다고 전제하며
작은 것을 알아가는 것에 신기해하면서,
우주와 삶에 대한 경외감을 주는 듯한 느낌으로 책장을 넘겨갔다.
다 읽고 나니, 우주를 내 나름대로 상상할 수 있게 해주는
힌트를 준다고 할까... 그런 느낌이다.
우주란 정확히 어떤 것이다. 그런 정형화된 이미지가 아니라,
이런건 아닐까, 이런것은 어떨까 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할까..
천문학은 너무 어렵고 다가가기 힘든 분야라 여겼는데,
아이들도 다가갈 수 있는 친밀감을 얻은것같다.
안경낀 학생 두명이 하늘을 보는듯한 표지가 마음에 들고..
나도 같이 시작하고픈 생각, 그런 위안을 얻는다고 할까..^^


기본적인 질문이지만, 정말 궁극적으로
우리가 궁금해하는 질문...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나...
이 질문에대한 답을 찾고 있는 듯 하다.
우주 라고 하면 영화에서 봤을 법한 그런 뭔가가 차 있는 우주를
상상하지만, 우주론 역사상 가장 기이한 이론을 내세운
프리츠 츠비키를 포함하여, 천문학자들과 이론도
나오는데, 술술 잘 읽히는 책이라 그런지,
호기심도 더 생기는것같다.
차례..





단원 마지막에는 우주에 대한 궁금한 점을 질문과 답하는 형식으로 담았는데
난이도에 따라 다르다. 정말 궁금해할듯한 그런 질문과 답이
책을 읽는데 이해도를 높여주고, 정리하는 작용을 한다.


아래처럼 이론을 설명하는 그림삽화도 있어서,
이해하기 쉽다. 그중에서도,
지구의 길동무들 행성을 소개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밤하늘을 보면 수많은 별이 반짝이는데 가장 맑은 밤하늘에서 사람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6등성까지로 그 개수는4천개라는 것..
그리고 수성,금성, 화성 등 내행성 외행성을 분류하여
하나하나 설명되어있는 부분들은 자세하지 알지 못했던 지식에
살을 덧붙여주는 것같아서 열심히 체크하면서 보았다.

빛에 관한 설명은
기존에 알고 있던 빛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주어서 무척 유익했다.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이미 알고있는 용어들이지만,
양자론을 언급하면서 설명되어있는 부분들이
어렵지 않고 이해가 쉬워서
이해하기 쉬웠다.
지식이 더 많이 늘어난것같은 뿌듯함도 들었다.
시험을 위한 과학공부가 아니라,
살아가면서 정말 필요한 공부가 이런 공부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