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와 만난 독서수업, 교실을 바꾸다
김마리아.목효정.이재연 지음 / 이비락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과와 만난 독서수업, 교실을 바꾸다.


독후활동을 어렵게 여기고 굉장히 거창하다 여겼는데,

습관처럼 할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이 든 책...


스스로 얼마든지 습관을 들일 수있는 책...


사교육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부분인 독서수업을 5년간의 한시적 프로젝트수업으로 교육청주관으로 학교에서 실제 이루어진 과정과 결과,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아주 현실적이고 와닿는 부분이 많았다.

책에서는 50분 집중하라.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 많이 지시하지만, 현실적으로 책 읽는 것이 많지 않음을... 많을수없음을 인정하고, 시작하는 부분들이 무척 현실적으로 느껴져서, 더욱 와 닿았다.


우리애들을 키우면서 독서지도사인 엄마들은 얼마나 좋을까 그런 생각을 한적이 있었는데,

독서지도사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책의 도움을 받아서 독서지도사의 지도법으로 아이들과 집에서도

충분히 잘 독서수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벅찼다.


인생을 많이 살진 않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지금 당장의 받아쓰기 백점도 아니고, 수학시험백점도 아니고..

읽고 느끼고 보고 느끼고 살아가면서 느끼고 생각하고 할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요즘은

생각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너무나 많다...

이런 것은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통해서 이루어져야하고 독서수업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지만,

우리는 어려서부터 너무 목적을 가지고 독서를 하는 것을 부인할수 없다.


그냥 책을 읽어!! 하고 말해서 읽는 아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책을 나눠주고, 읽어오게 하고 좀 더 적극적이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계속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기가 읽은 책을 소개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찾아가면 더 쉽고 재미있게

독서수업을 할수 있는 것같다.


이 책은 1장 살아있는 생생한 독서, 2장, 감상이 있는 독서, 3장 토론이 있는 독서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있다.

읽는 책에 따라서 어떤식으로 수업을 해야하는지 다 다른데 그런식으로 분류를 해 놓은 점이 무척 특이하고 좋았다.

책을 읽고 일률적으로 이런식으로 후기를 적으면 된다 이런식으로 감상문을 적으면 된다 이렇게 하지 않고,

선생님에  읽는 글에 따라 어떤 글을 써야하는지, 알수있어서 더 확연한 구분이 가는 점이

특이하고 기억에 남는다.

 





 




저자 소개


 




차례




 


실제로 토론을 하는 방법이 나와있는데 토론 논제 만드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각 모둠별로 질문을 5~6개 만들어 논제로 교사와 논제를 수정하고 토론하기..

그리고 후에 반 전체로 토론하는 방향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책 내용을 확장하여 자신의 경험을 이입시켜본다던지, 토론으르 하여 확장하고,

책 내용을 주제로 목판화 만들기 같은 후기 활동을 하면서 책 내용을 마무리 해본다.





그리고 토론식의 글을 읽을 때에는

이런식으로 생각을

그렇다 그렇지 않다. 이렇게 나누어서 먼저 생각하면

더 쉽게 생각을 정리할수 있다는 것도 알수 있었다.

복잡한 생각을 가장 잘 쉽게 정리할 수 있는건,


가장 단순하게 먼저 만드는 거라는걸....

책을 보면서 알게되었다.


신문을 보면서도 이젠 그런 습관을 키울수 있도록 노력해보아야겠다.


 


이렇게 모둠별로 활동지를 만들어서 눈에 잘 띌수 있게 정리 요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수 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신문으로 세상 읽기에서,

신문 사설 제목달기 부분이 무척 유익했는데, 집에서도 자주 해볼수있고,

개인적으로도 신문을 읽으면서 제목을 달지 않고 읽으면서 제목을 뭐라고 하면 좋을까

유념하면서 읽으면

더 집중하면서 읽을수 있어 좋을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