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콘서트 (개정증보판) - 우리가 살면서 한 번은 꼭 읽어야 할 천문학 이야기
이광식 지음 / 더숲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문학콘서트- 과학책이긴 한데, 어려운 과학책이 아니라서 술술 읽히는게 신기해요

천문학콘서트


자연계열 출신도 아니고,

학창시절에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과목들인데,

시험이 아닌 다른식으로 접근을 하니

나이들이 이런책에도 손이 가는구나. 하면서..

스스로 대견해하면서 책을 보았다. ^^


과학을 좋아하는 아들이 있어서 말동무를 해야했기에,

너무 무지한 티는 내고 시지 않은 엄마의 마음으로^^

책을 폈는데...

덮고 나니 세세하게 하나하나 기억이 다 나지는 않아서,

다시 펴보고 다시 펴보는 과정을 반복했지만,

왠지 스스로 똑똑해지는 듯한 기부니 들어서

행복하다^^


아들한테 자랑좀 해볼까..ㅎㅎ


무슨무슨 콘서트라는 책들은 이전에 들어보았는데..


천문학 콘서트  라는 책이 천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 통들어 볼수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었구나 싶다.

그리고 쉽게 접할수없었던 수 많은 과학자들에 대한 이야기와

과학자와 관련해 쉽게 들을수 없는 이야기들을 들을기회가 되어

너무 좋았고, 기억에 더 많이 남을것같다.

음악사 같은 경우는 음악가에 대해 위인전 같은데서도 많이 나오지만,

과학자는 이름만 많이 들어볼뿐 사실,

과학자의 배경지식을 쉽게 들을수가 없다.

이 책을 통해 과학자들을 새롭게 배울수 있어서 좋았고, 좀 더 넓게 멀리볼수있는

시선을 가져야겠구나 생각했다.



 



천문학은 세상과 나의 존재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과학책 인듯하면서도,

과학적인 지식을 국어책 처럼 풀어쓰고 있다.. 그래서 더 가깝게 느껴진다.

지구가 우주의 여러행성 가운데 하나의 땅덩이리일뿐이라고 하니,

더 멀리 크게 볼 필요가 있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최초로 태양이 중심이라는 설을 내세워

이론을 좀 더 구체화시켰다.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들이 돈다는 이론은 당시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이었지만...

심증도 물증도 없었으니,,

이 시대에 이런 가설을 내세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정말

대단한 과학자라는 생각이 다시금들었다.

그리고 갈릴레이에 대한 이름에 대한 명성말고도

가족과의 이야기, 성격등

개인적인 이야기도 들을수있어서 재미있었다.




​그 외에도

여러 과학자가 소개되었는데,

처음 들어보지만..

빛의 속도를 최초로 잰 사람이라고 해서,

올레뢰머도 소개되었다.


위성의 식(천체가 천체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관측하여,

식에 걸리는 시간이 지구가 목성과 가까워질때는 이론치에

비해 짧고 멀어질때는 길어진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우주의 진화를 밝혔던 철학자들 편에서는


뉴턴 역학으로 인해, 가장 큰 믿을 가졌던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의 붕괴를 꼽을 수있는데,

세계를 천상계와 지상계 둘로 쪼개고, 소통을 금지시켯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수 있다.

여기서 천문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았고,

뉴턴 물리학의 등장으로 천상도 지구처럼 질량을 가지고 중력으로 묶여있는 물체임을

알게되었다.

지상의 물리학은 천상에서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요,

물리학을 통해 우주의 상황도 볼수있다는 것도 알게되었다.


이전까지 항성천구에 붙어있는 점으로 간주되었던 천체들이 질량을 가진 물체라는 사실이

무척 흥미롭고 대단한 충격이었을것같다.



이 책은 우주의 미래에 대해 논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있는데,

나도 마찬가지로 과연 우주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궁금증을 가지고

책을 덮었다.


책 후반부에는 우주의 역하를 한눈에 볼수있는 연표가 있는데,

세계사 연표도 아니고 우주의역사를 한국에 볼수있는 연표라고 하니...

호기심을 가지고 다시한번 체크하면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