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생각의 탄생>에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에 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참 흥미로운 사람이란 생각이 들었고 드디어 그의 이야기를 읽었다. 분명 남다른 사람이다. 내가 볼 땐 두가지 특징이 있는 것 같다.첫번째는 단순하다는 것이다. 좋고 싫은 게 분명하고 하고싶은 일을 할 땐 옆을 보지 않고 직진만 하는 성격인 듯 하다. 나같으면 이러면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이런 생각을 한번씩은 해보는데 파인만은 그런 게 거의 없는 것 같았다. 감정소모 또한 적은 것 같았다. 나무로 비유하자면 곁가지를 많이 내지 않는 나무, 대나무가 그런가? 한 줄기로 곧게 뻗어올라가는...두번째는 ‘재미‘가 가장 큰 원천이라는 것이다. 어릴적부터 교수가 될 때까지 크고 작은 일들이 재미있을 것 같아서 시작하거나 재미있어서 하는 일들이 대부분이었다. 하기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던 것 같다.2차대전의 원자폭탄 연구에 참여한 동기가 궁금했었는데 그 이유는 애국심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그 당시 분위기의 영향도 있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처음엔 거절했지만 독일군이 먼저 폭탄을 만든다는 상상을 해보고는 안되겠다 싶어 하게 된 것이었다. 그의 일상과 함께 전개되는 원자폭탄 연구과정이 흥미로웠다. 그의 일상 자체가 다 흥미롭다. 그의 세미나에 참석하는 사람이 아인슈타인이고 그와 산책을 하는 사람, 그와 농담따먹기 하는 사람들이 거의 노벨상 수상자들이고 그들의 의견에 딴지를 거는 사람이 파인만이다. 원자폭탄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 중에 노벨상 수상자가 많은 건 아이러니다. 인류발전에 기여한 업적도 있을테지만 인류를 위험에 처하게도 하는 업적도 있으니 말이다. 파인만의 일생을 보니 그 말이 떠오른다.‘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파인만은 인생을 그저 즐기는 자였던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