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 5. 18. 내가 두살때였구나. 한강작가가 10살때 처음 알게 된 그날의 이야기를 이렇게 써주어서 나는 이제서야 알게 됐다. 이제야 알았다는 것에 자책감이 밀려왔다. 지금 와서 내가 어찌해볼 수 있는 일이 아니지만 그동안 모르고 살았다는 것이 너무나 창피하고 미안해졌다. 한편으론 작가가 고마웠다. 알려주어서, 잘 알려주어서.
<책읽어주는 남자>, <동급생>같은 외국작품들을 통해 히틀러의 유대인학살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분노하고 가슴아파하곤 했었는데 그 소설같은 일이 우리나라에도 있었다니, 그것도 내가 이땅에 살고 있을때였다니...
P.134 이제는 내가 선생에게 묻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잔인한 존재인 것입니까? 우리들은 단지 보편적인 경험을 한 것뿐입니까? 우리는 존엄하다는 착각속에 살고 있을 뿐, 언제든 아무것도 아닌 것, 벌레, 짐승, 고름과 진물의 덩어리로 변할 수 있는 겁니까? 굴욕당하고 훼손되고 살해되는 것, 그것이 역사 속에서 증명된 인간의 본질입니까?
인간의 잔인함. 믿고 싶지 않지만 역사속에서 증명되고 있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비단 역사속에서만은 아닌 듯 하다.
현재도 잔인함은 나타나고 있다. 믿기 어려운 잔인한 범죄들, 최근 제기된 케이지 사육.
채식주의자에서도 그렇고 한강은 인간의 잔인함에 대해 얘기하고 싶어한다는 느낌이 든다.
p.130 그러니까 형, 영혼이란 건 아무것도아닌 건가.
아니, 그건 무슨 유리 같은 건가.
유리는 투명하고 깨지기 쉽지. 그게 유리의 본성이지. 그러니까 유리로 만든 물건은 조심해서 다뤄야 하는 거지. 금이 가거나 부서지면 못쓰게 되니까, 버려야 하니까.
예전에 우린 깨지지 않은 유리를 갖고 있었지. 그게 유린지 뭔지 확인도 안해본, 단단하고 투명한 진짜였지. 그러니까 우린, 부서지면서 우리가 영혼을 갖고 있었단 걸 보여준 거지. 진짜 유리로 만들어진 인간이었단걸 증명한거야.
소설속에서 얘기하는 유리같은 영혼을 가진 존재도 인간인데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소설은 주로 희생자의 말을 적었다. 읽으면서 가해자는 어땠을까?라는 상상을 해보게 된다. 분명 같은 영혼을 가진 사람인데 그들은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체르노빌 피폭이라고 표현한 희생자들의 삶을 가해자들도 살았어야지만 공평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지 않았다면 그들을 인간이라 하기 힘들 것 같다. 가해자들의 입에서 나오는 이야기도 궁금해졌다. 제발 내가 상상하는 이야기가 나왔으면 좋겠다. 그들도 실은 살아있는 게 치욕이고, 살아내기가 힘들었다고...
그러지 않다면 나도 인간인 게 싫어질 것 같다.
책을 덮으며 책위에 국화꽃한송이 놓아주고 싶었다. 지금도 피폭피해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을거라는 생각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마음의 국화꽃을 같이 놓아줄 수 있게 되기를 바래본다.

이제는 내가 선생에게 묻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인간은, 근본적으로 잔인한 존재인 것입니까? 우리들은 단지 보편적인 경험을 한 것뿐입니까? 우리는 존엄하다는 착각속에 살고 있을 뿐, 언제든 아무것도 아닌 것, 벌레, 짐승, 고름과 진물의 덩어리로 변할 수 있는 겁니까? 굴욕당하고 훼손되고 살해되는 것, 그것이 역사 속에서 증명된 인간의 본질입니까?
그러니까 형, 영혼이란 건 아무것도아닌 건가. 아니, 그건 무슨 유리 같은 건가. 유리는 투명하고 깨지기 쉽지. 그게 유리의 본성이지. 그러니까 유리로 만든 물건은 조심해서 다뤄야 하는 거지. 금이 가거나 부서지면 못쓰게 되니까, 버려야 하니까. 예전에 우린 깨지지 않은 유리를 갖고 있었지. 그게 유린지 뭔지 확인도 안해본, 단단하고 투명한 진짜였지. 그러니까 우린, 부서지면서 우리가 영혼을 갖고 있었단 걸 보여준 거지. 진짜 유리로 만들어진 인간이었단걸 증명한거야.
당신이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