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의 두 얼굴 - 사랑하지만 상처도 주고받는 나와 가족의 심리테라피
최광현 지음 / 부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면아이를 봐야한다는 얘기가 앞부분에 나온다.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에서 항상 들어보던 이야기라 접으려고 한 책이었다.
끝까지 읽길 잘한것 같다.
중요한건 ‘직면‘이었다. 잊어버리려 하거나 왜곡하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마주 대하는 것. 모든 출발점이 거기에 있는 것 같았다.
읽는동안 나의 어린시절을 생각해봤다.
지금 나름 평온한 가정생활을 꾸리고 있기에 나는 나의 내면아이를 제대로 직면한 것이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반면 남편은 어떤 내면아이를 가지고 있을 지 궁금했다.
어린시절 에피소드를 많이 들어보긴 했지만 정작 본인이 그때 느낀 점을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기회가 되면 들어보고 싶다. 들어준다는 건 남편이 남편의 내면아이를 직면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가지 찔리는 것도 있었다. 남편과의 불화가 있을 때 아이들에게 하소연했던 일. 그건 삼각관계에 아이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삼각관계는 남녀의 삼각관계와는 다른 것이다. 아이는 아이대로 불안하고 부부의 문제도 제대로 볼 수 없게 만든다. 앞으로 이런 일은 만들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족은 정말 중요하다. 가족에 속해보지 않고 인간으로 성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또 그렇게 성장한 사람이 또하나의 가족을 만들기 때문이다.
불행한 가족에 속했던 사람은 또다른 불행한 가족을 만들 확률이 높다.
반대로 행복한 가족에 속했던 사람은 또다른 행복한 가족을 만들 확률도 높지 않을까? 그러면 이 사회는 행복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무엇보다 행복하고 건강한 가족을 만들 수 있도록, 그속에서 아이가 자랄 수 있도록 사회는 온힘을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