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내 지갑을 조종하는가 - 그들이 말하지 않는 소비의 진실
마틴 린드스트롬 지음, 박세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터들은 우리(소비자)의 욕구를 읽어내려 하고 우리는 마케터들의 의도를 읽어내려 한다. 그 줄다리기에서 누가 이기는지에 따라 한쪽 지갑의 두께가 줄어들기도 늘어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마케터와 우리는 동등한 상황에 있지 않다. 마케터에게는 반드시 줄다리기에서 이겨야지만 실속이 있겠지만 우리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줄다리기에서 이기면 우리의 지갑은 안전하다. 하지만 진다고 해도 그리 손해볼 일만은 아니다. 우리의 욕구가 충족되거나 행복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언급된 말을 인용하자면 미래의 권력의 주인은 바로 ‘우리‘인 셈이다. 마케터들이 우리를 조종할 수도 있지만 우리의 눈치도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마케터들이 제품을 팔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이 하고 있는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보자면 여느 철학자와 비견할 정도이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원한다.‘ ‘우리 두뇌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소외당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것이 아니라, ‘원해야만‘ 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사람들의 행동과 소비 뒤에 숨겨진 동기와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타 등등...)
그들의 노고에 박수를 치고 내 지갑이 기꺼이 조종당하게 둬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렇지만 데이터 마이닝은 몹시 기분이 나빴다. 짐캐리의 트루먼쇼 영화가 생각났다. 모두가 날 지켜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끔찍했지만 무인도에서 살지 않는 한 어쩌랴. 모른척하고 사는 게 정신건강을 위해서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SNS는 잘 안하지만 앞으로도 더더욱 하지말아야겠고 앱을 깔때도 없으면 죽을 것 같은지 다시한번 생각해보고 깔아야겠다.

미국을 배경으로 해서 모르는 제품도 많고 와닿지 않는 부분도 있었지만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한번쯤은 읽어볼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