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앞부분에서의 지적에 뜨끔해서 이 책은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끝까지 읽어보고 싶어졌다.
사랑은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것이라 생각했고 노력 유무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었다. 살다보니 사랑도 노력해야 하는 건가? 라는 생각이 조금씩 들었고 그런 면에서 나는 정말 능력이 없는 사람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했다. 그런데 이 책이 사랑은 배워야하고 훈련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랑은 모든 것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것이라고 하면서.
사랑의 이론에 대해 많은 부분 할애하는데 공감되는 게 많았다. 어려워서 이해안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중요한 건 어떻게 사랑을 실천하는가 인데 그 답이 미리 예견한 것처럼 조금 실망스러웠다. 내가 제대로 이 책을 이해했다면 우선 내가 겸손해야 하고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이성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할 사람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건 경험(활동)으로 이룩할 수밖에 없다는 것 같다. 구체적인 예시도 없다. 또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랑의 본질을 찾아 실천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겠다는 다소 김빠지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나와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근원적인 원인을 어렴풋하게나마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게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 내용에 잠시 나오는데, 성장기에 어머니의 영향이 컸던 사람은 중독에 약한 경향이 있고 아버지의 영향이 컸던 사람은 강박증에 걸릴 가능성이 크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게 얼마나 확률적일지 궁금해진다. 적어도 내 주변 몇몇은 맞는 것 같기도 하다.)
자연스럽지 못한 번역도 조금 아쉬웠다.
그러나 사랑에 대해서 배워야 할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우선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랑의 문제를 ‘사랑하는‘, 곧 사랑할 줄 아는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사랑받는‘ 문제로 생각한다.
사랑의 문제는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대상‘의 문제라는 가정이다. ‘사랑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고, 사랑할 또는 사랑받을 올바른 대상을 발견하기가 어려울 뿐이라고 사람들은 생각한다.
인간이 분리된 채 사랑에 의해 다시 결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의 인식, 이것이 수치심의 원천이다. 동시에 이것은 죄책감과 불안의 원천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가장 절실한 욕구는 이러한 분리상태를 극복해서 고독이라는 감옥을 떠나려는 욕구다. ...... 인간(모든 시대, 모든 문화의)은 동일한 문제, 곧 어떻게 분리상태를 극복하는가, 어떻게 결합하는가, 어떻게 자신의 개체적 생명을 초월해서 합일을 찾아내는가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종교와 철학의 역사는 이러한 대답의 역사이고, 이러한 대답이 한정되는 동시에 다양화되는 역사다.
완전한 해답은 대인간적 결합, 다른 사람과의 융합의 달성, 곧 ‘사랑‘에서 찾아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