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 민음사 모던 클래식 55
파트리크 라페르 지음, 이현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사랑이라는 것이 얼마나 많은 색깔을 가지고 있는지는 많은 매체들을 접하면서도 알 수 있고 수 많은 사람들을 보면서도 알 수 있다.
내가 아는 사람들의 사랑도 당연히 내가 하고있는 사랑과 다르기 때문에 정말 많은 사람의 수많큼 다양한 사랑이 존재한다고 나는 생각하곤 한다. 바로 그런 다양한 사랑의 이야기중 하나.
한 여자를 사랑하는 두 남자의 이야기. 오늘 내가 읽은 이야기는 바로 그런 줄다리기 같은 사랑을 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였다.
파트리크 라페르의 [인생은 짧고 욕망은 끝이 없다]
저자는 프랑스 사람이고 프랑스 문화를 그다지 많이 접해보지 않은 나로서는 이 책을 읽을 때 작은 것 하나하나에 주어지는 섬세함에 놀랐다. 마치 주인공의 감정에 줌인을 한 것 같은 그런 장면들...
어찌보면 이 책의 내용은 우리가 흔히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삼각관계? 라고 할 수 있을 만한 내용인데 여기선 그런 진부함은 찾아볼 수 없었다. 분명 단순하게 생각하고자 하면 아주 단순해질 수 있는 내용이지만 주인공인 노라, 루이, 머피의 생각과 그들이 얽혀지는 수 많은 상황들을 들여다보면 어쩌면 우리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많은 부분들이 녹아들어 있어서인지 읽는 나에게는 진부하게 느껴지지 않았던 것 같다.
소위 말하는 '내가 하면 사랑, 남이 하면 불륜' 이 이야기를 많으 들어왔던 나는 책을 읽으면서 루이가 노라에게 품고 있는 약간의 집착같은 사랑과 사랑하지는 않지만 많은 세월을 함께한 탓에 편안하다고 느끼는 것만 같은 아내를 놓지 못하는 또 다른 마음을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런데 거의 마지막에 다다라서 노라를 찾아 나서는 루이를 보며 사랑이란 것은 정말 어떻게도 단정지을 수 없는 복잡미묘 한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사실 루이의 생각을 완전히 이해할 수도 없었다.
루이가 노라를 사랑하는 세상도 머피가 노라를 사랑하는 세상도 다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인데 그네들을 완벽히 이해하지도 그렇다고 너무 이해가 안되는 것도 아닌 복잡미묘한 이 마음은 책에서 이야기하는 듯 했다. 딱 단정지을 수 없는 무엇인가가 사랑이 아닐까? 책을 읽고 난 나는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그저 이네들의 이야기도 하나의 인생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였으면 이랬을꺼야, 나였으면 저렇게 안했을껄? 하는 생각이 여기서는 통하지 않았다. 왜냐면 나는 주인공이 아니었고 나의 인생도 주인공들의 인생만큼이나 복잡하기 때문에 읽으면서 독자인 나는 책에 녹아들어가는 듯 하지만 또다시 나의 인생으로 돌아오는 나를 발견하곤 했기 때문이다.

나에게 이 책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수 많은 사랑들중의 하나를 마치 현미경을 가지고 들여다 보는 것 처럼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