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우리가 앉았던 의자들
기낙경 지음 / 오브제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살아온 인생 30년.
30년은 결코 길지도 짧지도 않은 시간이라고 생각되는 시간인 듯 하다. 나이 서른이 되었다는 건 휘황찬란한 20대를 지나 이제 조금 안정기에 접어들 수 있는 시점인 것 같기도 하고 이제 정말 어른이 되어 본격적으로 인생의 진한 국물을 맛볼 수 있는 시간인 것 같기도 하다. 나에게 서른은 그랬다. 20대는 치열하고 힘들었다고 하면 30대에 들어와서는 어느정도 안정을 찾았고 이제 정말 행복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 것만 같은 그런 느낌이었으니까.
이번에 읽은 책에서 만난 그녀 기낙경은 나이 서른에 바라보는 그녀의 인생을 책을 통해 이야기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이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주인공은 오히려 세월보다도 그녀가 좋아한다는 [의자]였다. 어딘가에 놓여있는 걸 보면 다가가 앉아 쉬고 싶은 생각이 들게끔 하는 사물, 바로 의자다. 그녀가 느낀 의자도 그랬다. 삶에 지쳐 힘들때나 아니면 누군가가 사무치게 그리울 때, 행복했던 순간을 떠올릴 만한 장소가 필요할 때 그녀의 옆에는 늘 의자들이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은 그녀가 그렇게 삶을 통해서 지나쳐온 순간들에 함께했던 의자들과 그녀의 인생을 보여주고 있다.

가지는 총 3개로 나뉘어 있다.
매일매일 의자 얼굴, 서른의 언어 의자의 언어, 우리가 앉았던 의자들.
그리고 그 안에 들어있는 작은 가지들.
그녀의 책을 읽다보면 왠지 나도 모르게 겪어본 듯 한 느낌을 받게 된다. 사람 사는 인생이 많이 다르지 않다는 얘기일까? 그녀가 했던 생각, 되돌아본 추억들은 나도 어디선가 겪었던 이야기였고, 한때는 같은 고민으로 애태웠던 적이 있었다. 아마 내 주변 서른즈음의 여자들은 많이 공감하지 않을까?
이 책은 하루하루 편지를 쓰는 것 마냥 일상의 소소한 주제로 나눠 얘기하고 있어서 그런지 읽으면 어느새 마음이 따뜻해지고 있었다. 삶이 무료하다고 생각될 즈음 읽으면 감성이 가득 찰만한 그런 그녀의 이야기.

"밥과 함께 마음이 살찌고, 또 그만큼 타인과의 거리는 가깝게 하는 밥상. 그 둥근 밥상을 회복하는 일은 단순히 과거를 추억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어쩌면 그것은 먹거리와 함께 둥글어지는 우리들의 행복한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일지 모른다." 페이지 110.

여기서 보여지는 것처럼 그녀는 그 나이때 겪어야 하는, 알아야 하는 그런 마음을 잘 알고 있었다. 말한마디로도 사람을 위로하고 채워줄 줄 아는 감성을 가진 여인. 기낙경.
그녀의 작은 이 이야기들이 무료하다고 느껴지는, 삶이 너무 힘들다고 느껴지는, 위로 받고 싶다고 느껴지는 그 서른의 청춘들에게 들려줬으면 좋겠다. 그래서 내가 느꼈던 이 포근함을 함께 느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