팻걸 선언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13
수잔 보트 지음, 김선희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제이미 카카테라
오늘 내가 만난 책의 중인공이다. 그녀는 팻걸이다. 그리고 현재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누구나처럼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다.
또하나! 학교 신문에 연재하는 작가이다. 그녀는 자기의 작품을 통해 '팻걸 선언'을 했다.
뚱뚱한 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많은 오해의 눈길을 받고 사는 것 같다. 뚱뚱한 사람은 게으르다, 자기 관리를 하지 않는다, 인기가 없다, 성적인 욕구를 느끼지 못할 것 같다, 등등...
오늘 만난 제이미는 팻걸들이 하고픈 이야기를 제대로 통쾌하게 하고 있었다.
팻걸 제이미와, 글래머 프레디, 말라깽이 노노 이렇게 세친구는 소위 말하는 절친이다. 제이미의 칼럼을 쓰기 위해 이 세친구는 한창 뜨고 있는 옷가게인 '핫칙스'를 방문해서 팻걸들이 어떤 시선으로 보여지는지,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를 몸소 느끼면서 이에 대해 칼럼에 쏟아낸다.
여기서부터 사건이 발단되고 팻걸의 칼럼은 상상도 못할 화재거리가 되어버린다.
이 책을 통해서 작가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을까? 비만은 물론 걱정해야되는 문제는 맞다고 생각한다. 나조차도. 사실 나도 어릴적부터 늘 통통한 몸매를 유지하고 살았기 때문에 제이미의 생각에 아주아주 동의하는 부분이 많았다. 심지어 내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동일한 부분도 있었으니까. 그런데 등장하는 기자가 이야기 했던 것 처럼 팻걸선언이 비만을 동조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했다.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면 먹고 싶은 음식을 마음껏 먹으면서 뚱뚱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행복한 인생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사실 그래서 지금도 다이어트를 해야하지만 날씬한 몸을 위해서 내가 먹고싶은 음식을 참을수는 없다. 차라리 그만큼 운동을 하고 말지!
아마도 지나치게 마른 몸이 예쁘다고 강조하는 이 세상에 한마디를 하고싶었던 것이 아닐까? 언젠가 뉴스에서 중고등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자기는 뚱뚱하다고 생각한다고 하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세상에나... 내가 봤을때는 충분히 마르고 예뻤던 아이들인데 말이다. '해골간지' '젓가락 몸매' 'S라인' 등 세상은 마른몸이 예쁘다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해대고 있다. 그렇지만 나는 사람마다 건강하게 유지하는 몸이 각각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떤 기준화 되어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팻걸이든, 마른 몸이든 나쁜 선입견이나 편견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제이미, 적어도 나는 그녀를 충분히 동감하며 응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응원할 것이다!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길... 많은 청소년들에게 바라는 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