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아홉 그녀 이력서를 쓰다 - 새로운 인생에 도전하는 여성 10인의 이야기
김병숙 지음 / 미래의창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서른아홉...  지금 내 나이는 그것보다 10살 어린 스물아홉.  앞으로 10년 뒤에 나에게 닥칠 현실을 이 책에서 보았다. 직장 다니다가 결혼해서 애기 낳고 남편과 오순도순 잘 살다가 어느날 갑자기 나에게 다가온 허전함? 아이들은 컸고, 남편은 나와 있으면 따분해 하고, 오랜만에 친구를 좀 만나자니 가족들 눈치 보이고 등등...

이 책은 나 자신에게 보여주는 일기장 같았다. 그래서 점점 더 나에게 현실처럼 와 닿았는지도 모르겠지만 서른아홉에 느낄 수 있는 정말 다양한 감정들 상황들을 다 얘기하고 있었다.

“60세에 허리 24인치에 하이힐 신기”

예전에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라는 영화를 보았을 때 거기서 나오는 여자 편집장이 딱 이 모습이었던 것 같다.

지금껏 잊어버리고 있던 나를 다시 찾아서 나로 돌아오는 것. 그 와중에 겪어가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은 참 재미있었다. 특히나 직업을 찾아가는 부분은 나도 다시한번 생각해봐야 겠다는 마음을 먹게끔 만들었다. 120세~150세까지 살아야 한다는 말. 40대가 20대 같이 60대를 30대 같이 느끼면서 살 수 있도록 나를 훈련시키는 일은 정말 쉬운일이 아닐꺼다. 세상에 뭐 쉬운일이 있나? 싶으면서도 어려워도 가야만 하는 필요성을 더욱더 느끼게 해주었다. 한 아주머니가 직업을 선택하고 그 직업에 뛰어들기 위해서 이력서를 쓰는것.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도 여자는 결혼하면 자기 이름을 잊어버리고 살게 된다고 한다. 결혼하면 누구누구씨 아내, 사랑하는 아이를 낳으면 누구누구엄마, 정작 살면서 내이름을 불리우는 기회는 좀처럼 없는게 다반사인데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자는 다르다. 어딜가도 그네들의 이름을 가지고 일을 한다. 여기서 느껴지는 내 이름 석자의 가치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은 그저 삶을 자신있게 살아왔던 한 여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누구나 다 겪으면서 살 고 있는 그리고 느끼는 그런 이야기를 옆에서 멘토인 친구가 이야기하듯 독자에게 말하고 있다. 이제 잃어버린 나를 찾아보라고...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이제 첫발을 내딛어 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