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똑! 핀란드 육아 - 아이 스스로 행복을 찾는
심재원 지음 / 청림Life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의적이고 자율적이며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자랐으면 한다.‘


나를 비롯한 많은 부모님들이 가지는 교육관이다. 제도권 교육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목고는 어린 시절부터 사교육을 받아온 아이들의 전유물로 변모했다. 홈스쿨링을 하기엔 부모의 뚜렷한 교육 철학이 있어야 가능한 것은 물론 대부분 환경적으로 불가능하며 두렵기도 하다. 교육개혁이 필요하다고 여기저기서 목소리는 나오고 있으나 사교육 시장이 형성이 된 우리 내 교육환경은 쉽게 변할 것 같지는 않다. 어디서 해답을 찾아야 될까?


SNS에서 육아툰으로 유명해진 아트디렉터 심재원(그림에다)은 그 해답을 찾으려고 핀란드로 떠났다. 주한핀란드 대사의 도움을 얻어 복지 국가로 대표 되는 핀란드에 방문하여 단순 여행객이 아닌 직접 주거를 하면서 일상에 젖어들어 그 들의 삶으로 들어가 보았다. 의료시설, 교육환경, 주거문화, 생활환경 등을 경험한 일기이지 핀란드 여행이 아니다. 먼저 그는 핀란드의 일상에 들어가기 위해 평범한 가정에 일주일간 쉐어를 했다. 그러면서 그 들의 일상에 동화가 되어 관찰하고 참여하였다.


처음으로 경험한건 핀란드의 아동병원이다. 항생제 사용을 최대한 억제하는 핀란드에서는 특별한 약 처방은 없다고 한다. 아이들이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관찰하고 도와준다. 당장 효과를 보는 항생제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와 비교되는 상황이다. 그리고 유모차를 타고 어디든지 다닐 수 있도록 배려한 도로나 교통 환경은 인상적이었다. 남성의 보육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대다수의 기업에서는 육아휴직을 장려하고 있었다. 모든 기업이 적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기업이 육아휴직에 호의적이며 장려하고 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핀란드 선생님의 교육관이었다. 아이들에게 꿈을 가지게 하고 꿈을 쫓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한 삶을 위해 무엇을 하는 것이 좋을 지 찾게 하는 것이다. 너무나 이상적이다. 제도권 교육에 찌들어 꿈이 무엇이지도 모르는 우리 아이들을 생각하면 부러운 교육관이 아닐 수 없다. 사교육은 공교육을 잘하기 위한 선행학습이 아닌 대부분 운동 교육이 사교육이며, 1등을 위한 교육이 아닌 뒤처진 아이들이 뒤처지지 않게 기다려주고 맞춰주는 교육은 아름답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물론 제도적으로 마련된 안정된 시스템이 있어야 실현 가능하기에 우리나라 현실과 거리가 먼 유토피아라고 느껴진다. 허나 그 들의 삶에서 기본적인 육아의 지혜는 배울만하다. 아이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부모와의 대화시간을 많이 갖고 집안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들은 분담을 하고 함께 하는 것은 충분히 본받고 적용시킬만하다. 기다림을 배워야겠다.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고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을 빼앗고 있지는 않은지 나를 돌아보고 생각해봐야겠다. 우리나라 교육자들도 단 한 번도 찾지 않았다는 핀란드라고 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나라 교육을 이끌어가는 교육청 직원이나 고위관 직자들이 한번 찾아서 배워왔으면 좋겠다. 이번 기회에 유토피아를 꿈꾸지 말고 유토피아를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 책을 통해 나먼저 유토피아를 향해 한발을 내딛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