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열림원 세계문학 4
헤르만 헤세 지음, 김길웅 옮김 / 열림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싯다르타는 헤르만 헤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한다. <데미안>과 <수레바퀴 아래서>라는 작품으로 유명한 그는 말년에 동양 사상에 심취하여 종교적 성장소설을 집필하게 되는데 그 작품이 바로 <싯다르타>이다. 헤르만 헤세가 동양 사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신기하고 작품으로 어떻게 녹였는지 궁금하여 책을 선택하였다. 사실, 제목은 알지만 아직 읽지 못한 소설 목록에 들어가 있는 이유가 가장 크지 않았나 싶다.

주인공 싯다르타는 바라문 계급의 아들로 태어났다. 흰두 사회 내의 최상위 카스트이며 성직자나 학자 계급이다. 어느 날, 그는 마을에 지나가는 사문(수행을 통해 정신적 자유, 깨달음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지나가는 장면을 목격한 후 그들에게 알 수 없는 열망을 느끼게 된다. 아버지에게 사문이 되겠다고 말하지만 당연하게도 반대에 부딪히게 된다. 하지만, 싯다르타는 친구 고빈다와 함께 출가를 결심하게 되고 사문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깨달음을 얻은 자가 있다고 소문을 듣게 된 싯다르타는 그를 만나기 위해 기원정사로 향하게 된다.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깨달음을 얻은 자의 말을 듣기 위해 모여있었다. 그의 이름은 다름 아닌 고타마 싯다르타(부처). 주인공과 동명이인. 설교(?)가 끝난 다음날 친구 고빈다는 기원정사 신입회원으로 수행을 하겠다고 한다. 사문이 되어 깨달음을 얻겠다던 싯다르타는 사문이 되겠다 걸 거절한다. 아직 그에게는 해결되지 않은 무언가가 있어 보였다. 그러던 중 고타마 싯다르타(부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깊은 깨달음을 얻는다.

“제가 당신의 제자가 된다면, 제 자아가 겉으로만 안식을 얻게 되거나 거짓 해탈에 이르게 될까 두렵습니다. 실제로는 자아가 계속 살아남아 더 비대해지지나 않을까 두렵습니다. 자칫해 세존의 가르침, 세존을 따르는 것, 세존에 대한 제 사랑, 승려들과 공동체를 제 자아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싯다르타는 부처님의 깨달음이 누군가에게 배우지 않고 스스로 깨친 것이라고 말하며 자기 스스로 깨달음을 얻고 싶어 했다. 지금 우리 사회의 종교를 믿는 사람들을 보면 종교에 대한 믿음과 깨달음보다는 싯다르타가 말한 공동체를 더 중요시하고 살아가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처음 종교를 가지게 된 동기는 사라지고 자신이 속한 종교 공동체에서 무의식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다. 헤르만 해 세는 싯다르타를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 무엇인지 독자에게 물어보고 있다. 배움이란, 누군가의 행동과 말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얻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뒤, 싯다르타는 나 자신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으로 마을로 향하게 된다. 마을로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야 되는데 이때 뱃사공(바수베다)이 공짜로 싯다르타를 태워준다. 마을에 도착한 싯다르타는 아름다운 기생 ’카말라‘를 만나게 되고 그녀에게 사랑을 배우고 싶다고 말한다. 가진 것이라고는 사색할 줄 알고, 굶을 줄 알고, 기다릴 줄 아는 것 말고는 없는 싯다르타는 카말라에게 거절을 당하게 되고 자신을 만나기 위해서는 많은 선물이 필요한데 마을 상인을 통해 돈을 버는 법을 배워서 찾아오라고 한다. 싯다르타는 상인에게 열심히 일을 배우게 되고 카밀라가 원하는 정도의 부도 가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는 그렇게 살아가면서 세속 생활에 찌들게 된다. 술도 마시고 노름도 하고 화도 많이 내는 추악한 사람이 된 것이다. 싯다르타는 자신이 실패했다고 생각하고 강으로 가서 자살을 하기로 한다. 강가에 도착한 그는 힘들고 지쳐 기절하게 되는데 그를 살려준 것은 다름 아닌 처음에 공짜로 배를 태워준 바로 그 뱃사공이었던 것이다. 싯다르타는 뱃사공을 만나 그와 함께 생활하면서 마음의 평온을 찾게 되는데... 카밀라와 아들이 있는 세속의 삶을 버린 싯다르타는 그가 생각하는 깨달음과 평온의 끝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헤르만 헤세는 싯다르타를 통해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나 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그러니깐 대중으로부터 덕망과 존경을 받는 사람들이 내외적으로 모두 성공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지 묻고 있다. 자신이 추구했던 삶이 싯다르타와 같은 모순이 발생하는 생각해 보고 세속과 탈속이 공존하는 삶을 찾길 바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