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식의 도시 탐구 - 우리나라 도시에 숨겨진 과학 이야기
곽재식 지음 / 아라크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쓸신잡이라는 방송이 있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지역을 여행하면서 각 지역의 대표적인 곳을 방문하고 이에 대한 이야기를 자신의 관점에서 흥미롭게 풀어내는 방송이었다. 내가 여행 혹은 업무차 방문해 본 지역을 내가 미쳐 보지 못한 부분까지 소개하는 장면이 신선하고 감탄을 자아내게 했다. 알쓸신잡에도 김상욱과 장동선, 정재승이란 과학자가 등장하여 과학자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풀고 있었지만 곽재식 작가가 출연하였다면 또 다른 재미가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내가 느낀 아쉬움을 곽재식 작가도 느꼈을까? SF 도서 출판계의 공장장, 곽재식 작가가 이번엔 도시에 관한 이야기를 [곽재식의 도시 탐구]라는 책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도시들이 있지만 곽재식 작가는 심사숙고하여 10개의 도시를 선정하였다. 청주, 대전, 전주, 속초, 경주, 울산, 제주, 수원, 여수, 부산. 도시 탐구라고 하면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나머지 도시들을 부가적으로 소개할 줄 알았는데 책의 목차를 보니 선정에 대한 특별한 규칙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이 책에 소개되지 않는 인천, 강릉, 세종 등은 다음 책(?)에 소개할 것이라 믿는다. 일단, 도시 탐구가 잘 팔려야겠지? 책 구입을 위해 서평까지 확인해 본 독자라면 아마 책을 구입할 것이니깐 다음 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겠다. 

아무튼, 곽재식 작가의 도시 이야기는 청주부터 시작된다. 제2의 도시에 살고 있는 ‘부산러’ 입장에서는 부산이 처음 등장하지 않는 것이 의외였다. 아마 중요한 인물은 나중에 등장하는 소설적 요소(?)를 가미한 배려가 아닐까? 계속, 쓸데없는 이야기가 길어지네. 사실 난 청주를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다. 청주뿐 아니라 백제의 나라인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가본 적도 없다. 부산에 살아서 그런지 인근이라 생각하는 곳이 경주, 대구, 진주, 남해 등이고 조금 더 나아가면 여수, 청도, 포항 정도가 되겠다. 아직 방문을 해보지 않은 도시라 내심 기대하며 읽었다. 충주 하면 딱 떠오르는 것이 없다는 것. 책을 읽어야 되는 이유로 한몫한 것 같다. 작가는 청주의 두꺼비에 주목했다. 산란을 위해 산에서 내려오는 수많은 두꺼비들이 운행 중이던 차량과 사고가 발생하여 끔찍한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주시와 주민들은 서로 머리를 맞대고 고민한 결과 원흥이 두꺼비 생태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고 소개하고 1952년 녹화사업으로 심은 가로수길(플라타너스)는 70년이 지난 지금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고 한다. 이어서, 소개하는 도시는 성심당과 이미 한 몸이 된 대전, 작가는 대전의 명물인 성심당의 튀김소보루를 뒤로하고 그 이전 유명했던 음식, 가락국수를 소개한다. 교통의 요지가 된 대전에서 맛볼 수 있는 가성비 최고의 음식의 유례와 의미를 소개하고 과학도시로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 경험을 토대로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다. 속초, 경주, 울산, 제주 등을 나머지 장을 활용하여 소개하는데 여행 가이드로 곽재식 작가를 모시고 여행을 가면 얼마나 재미있을까라는 상상을 하게끔 읽는 내내 바보 도 트는 소리를 내며 웃고 있는 나를 발견하였다.

곽재식 작가는 책이 나오면 놀라고 한다. 신간이 나온 지 얼마 되었다고 또 신간이 나오다니 하고 말이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집필 속도도 놀랐지만 곽재식 작가의 집필 속도 또한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빨리 집필한다고 내용이 허술하지도 않고 매번 감탄을 자아나더니 과연이라는 말이 따라붙을 만하다. 작가는 과학자의 시선이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여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아마, 곽재식의 도시 탐구와 같이 도시가 아닌 농촌, 어촌 등 미처 가보지 못한 우리나라 곳곳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 같다. 인근 도시로 여행 가기 전 이 책을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해당 도시를 향하는 동안 내용을 곱씹어 보면 원래 보던 도시도 새롭게 보이 않을까? 지금 나에겐 부산이 또 새롭게 다가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