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발견 - 동서고금을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독 이야기
후나야마 신지 지음, 공영태.나성은 옮김 / 북스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쁘게 생긴 버섯은 독버섯이야.” 

“예쁜 무늬가 있는 개구리와 문어는 독이 있다더라고." 

“복어는 독이 있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서 먹어야 돼.” 

이미 우리가 알고 독에 관한 상식들이다.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어떻게 이런 사실을 알게 된 것일까? 일차원적으로 생각해 보면 원시시대 그러니깐 아무도 독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때 누군가는 먹었거나 만졌거나 했을 것이다. 먹고 난 뒤 구토나 설사를 하거나 고열을 유발하여 끙끙 앓다가 죽는 경우도 목격했을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과거에는 단순히 금지라는 단어로 단순히 보호했을 것이고 훗날 연구하는 학자가 등장하여 이 생물이 가지고 있는 독은 무엇이라고 발견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맹독을 가지고 있는 복어를 굳이 잡아서 먹는 것을 보면 사람은 참 대단한 것 같은 생각이 든다. 

후나야마 신지가 저술한 [독의 발견]이란 책은 독에 관한 A-Z를 알려주는 책이다. 그렇다고 무색무취의 독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은 아니고 독이 무엇인지 독에 관한 기본 상식과 역사적으로 독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려주고 음식에 의한 독과 독의 오남용으로 인한 사고와 세계적으로 유명한 독으로 인한 범죄 등을 쉽게 풀어 정리한 책이다. 책은 총 1장부터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소제목을 달고 관련된 주제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독이라는 것도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 천연독이 있지만 일종의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인위적인 독도 있다. 대표적으로 바꽃과 복어, 독사 등의 독이 천연독이고 누구나 알고 있는 청산가리는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진 무시무시한 독이다. 책의 1장과 2장에 걸쳐 나오는 내용인데 독의 치사량을 숫자로 비교했을 때 청산가리는 넘사벽의 수치를 가지고 있어서 놀랐다. 이어서 3장에서는 역사적인 독에 관한 역사적인 사건들이 나오는데 대표적으로 불로불사를 꿈꾸던 진시황의 수은 중독과 소크라테스의 사형 등이 나온다. 우리나라에서 저술한 책이었으면 조선시대에서 발생한 “죄인은 사약을 들라”라고 말하는 역사적 사건이 등장했겠지만 아쉽게도 이 책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아마 이 책이 조금 더 늦게 나왔다면 러시아의 홍차 사건도 나오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이어서 책은 음식에 등장하는 독과 독으로 인한 사고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도 잊지 못하는 옴 진리교의 독가스 테러 사건들이 나오는 독과 관련한 범죄의 차트가 이어진다. 독이 얼마나 무서운지 다시금 상기시켜주는 챕터가 아닐까 생각이 듦과 동시에 우리나라에서 최근에 발생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도 독가스 사건이라고 봐야 되는 건지 의문이 생기기도 했다.

약은 잘못 쓰면 독이 된다는 말이 있다. 진통제로 쓰이는 마약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세 시대 마녀도 사람을 죽이기 위해 독을 만든 것이 아니라 원시적 화학기술을 사용하여 약을 만드는 연금술사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상한 물질을 만들어 낸다고 하며 전염병의 근원을 마녀에 전과시켜 마녀사냥이라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 사실, 이때의 마녀사냥은 흑사병, 개신교 등장으로 인한 다양한 종파 등장과 사회적 불안 등 사람들은 불행에 대한 납득할 이유를 마녀에서 찾기 시작했었다. 만약, 근대에 들어 마녀가 등장했다고 하면 노벨화학 상도 받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는 이유가 근대 화학이 성립하기 이전까지 연금술이 천 년 이상 계속되었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독의 오남용 방지 및 독에 관한 지식을 알려주는 책이다. 고교 시절 화학 시간에 배운 화학기호들과 화학적 특성이 나오긴 하지만 이해하지 않아도 책을 읽는데 문제가 없으니 걱정은 내려놓으시길 바란다. 그리고 무색무취의 치명적인 독을 만드는 황금조합이 나와있지 않은 책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은 책을 내려놓고 그 돈으로 꿀을 사 먹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