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발명된 신화 - 기독교 세계가 만들고, 시오니즘이 완성한 차별과 배제의 역사
정의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_기독교 세계가 만들고, 시오니즘이 완성한 차별과 배체의 역사

박해받던 소수자는 어떻게 가해자가 되었나

 

유대인 문제는 기독교 세계가 자신들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타자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우리라는 개념은 저들이 있어야 성립한다. (_서문 중에서)

아직도 종종 뉴스에 등장하는 각 민족 국가중 단연 떠오르는 것이라고는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분쟁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그렇다면 어째서, 이 분쟁이 쉽게 해결되지 않는 것인가? 그 문제는 유대인들이 겪은 역사에서 그 원인이 드러난다.

유대인들이라고 한다면 한국에서는 흔히 유대인들의 공부법을 본받아야 한다며 자주 드러나서 꽤나 긍정적인 방향으로 친숙하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긍정적인 인식과는 다르게 유대인 민족들이 겪은 일들은 부정적인 쪽으로 다양하다. 고향에서 추방된 것부터 나치의 홀로코스트까지. 평화롭게 지낸 날 보다 박해받던 일들이 더 잦았던 민족이 유대인이다. 이런 민족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두고 박해받던 일들이 잦기 때문인지 현재의 유대민족국가, 이스라엘의 헌법에서는 의원 선거 후보자에 대해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부정이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포함된다면 출마가 금지된다는 조항이 있다. 유대인과 팔레스타인 분쟁이 아직까지 일어나고 있는 이유에서도 여기에 그 원인이 숨겨져 있다.

유대인은 어떻게 차별받던 집단에서 차별하는 집단이 되어버린 것인가. 이스라엘 건국 시 그 영토에 대한 분쟁의 시발점이 유대인의 역사 속에 숨겨져 있다.

 

고향에서의 추방, 낯선 땅으로의 이산, 2000년 만의 귀환.

유대인 신화에 숨은 폭력과 차별에 관한 가장 통렬한 고발!

 

모든 차별은 우리는 저들과 다르다는 타자화에서부터 시작한다. 우리는 저들과 다르다. 이 문장 하나가 모든 차별과 배제를 가져온다. 이런 현상들은 비단 유대인들의 역사에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닌 흔히 주변에서 나타나는 각종 사건들에서도 드러난다. 학생들의 학교폭력 문제에서나 사회에서의 소외계층이 흔히 겪는 일들도 여파와 규모만 다를 뿐 충분히 그 결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유대인, 발명된 신화>에서 중점으로 다루는 이야기는 단순히 유대인의 박해받은 역사나 이스라엘 건국 후 벌어지는 각 분쟁에 대한 내용만이 아니다. 이 책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것은 차별과 배제의 역사와 피해자가 가해자로 변해버리는 상황에 대한 경계와 비판이다.

 

이 서평은 하니포터 5기로서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