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Live & Work 3 : 행복 - 출퇴근길에 잃어버린 소확행을 찾아서 How To Live & Work 3
제니퍼 모스 외 지음, 정영은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요즘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단어 중 하나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행복하지 않다는 사람들이 많다고 볼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잘 지내고는 있지만, () 행복한 방법을 찾기 위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몇 년전에 유행했던 말이 있다.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어서 행복해지는 것이다. 물론 이 말도 맞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살짝 표현을 다르게 타나낸다. 웃는 얼굴이라고, 웃으며 지낸다고 행복한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고통의 부재가 행복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단순히 고통이 없을 뿐인 상태라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행복 중에서도 출퇴근길에 잃어버린 소확행을 찾기 위하여 썼고, 그러기 위해 직장에서 행복해지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직장에서 행복하려면 직장 문화나 분위기, 직장 동료와의 관계, 조직 등등에서 몇 가지를 제안한다.

그러면 여기서 문득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직장에서 왜 행복해야 하는가? 근무시간만 채우고 얼른 퇴근만이 살길인데 굳이 그런 곳에서 행복을 찾아야 하는가? 여러분은 어떤 답을 내리시겠습니까? 물론 일의 효율이 올라가고 생산성이 올라가니까 행복해야한다? 라는 말도 이 책에서는 적혀있지만, 이건 단순히 회사 측의 입장이다. 그런다고 월급을 더 주는 것도 아니고, 회사의 실적이나 매출만 올라갈 뿐이다. 따라서 이건 개인의 행복 차원에서는 내세울 수가 없는 의견이다.

그럼 개인적인 것은 무엇이 있을까? 직업적 성공이라고 봐도 되고, 만족감을 높이는 것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3가지를 언급하는데 세부적인 내용은 직접 살펴보면 도움이 될 듯 하다. 미래에 대한 의미 있는 비전이 첫째, 명확한 목적의식이 둘째, 그리고 마지막으로 좋은 인간관계가 있어야 행복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럼 일은 어떻게 의미를 잃게 되고 불행하게 될까? 나의 업무나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경우, 업무에 대한 직원의 주인의식을 파괴하는 경우, 직원이 현재 하는 일이 출시되지 않으리라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 변화에 대해 직원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는 경우 등은 일을 하지 싫고 직장생활이 행복하지 않게 변한다.

번성을 위한 개인의 전략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담당 업무를 더 의미있게 만들어야 하며, 혁신과 학습의 기회를 찾으며 활기를 주는 관계에 투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번성을 회사 안에서만 하지 말고, 회사 밖으로 이어나간다면 모두가 행복한 직장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이것들을 한다고 무조건 행복하다고 보장할 수 없고, 또 누군가는 다른 방식들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고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무슨 일을 하든 스스로 행복을 찾아려고 하는 마음가짐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