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새움 세계문학
버지니아 울프 지음, 여지희 옮김 / 새움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케임브리지대 학교에서 ‘여성과 픽션’을 주제로 강연한 두 개의 연설문을 바탕으로 출간된 비평서이자 에세이이다. [자기만의 방]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전통적으로 자리잡은 남성과 여성의 가치 차이, 여성이 처한 불평등한 현실의 문제, 여성 작가로서의 자세, 나아가 작가에 대한 철학을 다루고 있다. 

백 년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의 많은 여성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는 책으로 손꼽히는 이 책은, 울프가 책을 쓴 그 당시의 문제가 현대에도 지속되고 있기에 더욱 공감할 것이다.

패미니즘의 고전으로 불리우는 '자기만의 방'은 여전히 자기만의 시간, 자기만의 방. 그리고 돈이 부족한 많은 여성들에게 따뜻한 위로이자 힘 있는 응원을 전하고 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은 명성만큼 다양한 출판사에서 수많은 번역으로 출간되었고, 그 인기 역시 여전한 불멸의 고전이다. 

하지만 명성에 비해 실제로 완독한 독자가 많지 않다고 한다. 다양한 이유로 진입 장벽이 높았던 이 책을 이번엔 꼼꼼한 각주와 더불어 함께 읽는다면 좀 더 쉽게 울프가 전하는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재치있는 말솜씨와 명료하게 다뤄 낸 사회 문제를 읽고 있노라면 지금의 강의라 해도 이상할 것이 없을 정도다. 어떻게 '여자가 픽션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우리에게 보여 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그녀의 말이 백 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백 년전, 우리에게 '자기만의 방'을 가지라 했던 버지니아 울프가 기대한 다른 세기의 모습은 이런 사회일까.

언제쯤 많은 여성들이 '자기만의 방'을 걸어 잠글 수 있을까.





책 속의 문장 


왜 남자들은 와인을 마시고 여자들은 물을 마시는가? 왜 한쪽 성은 그토록 번창하는데 다른 쪽 성은 그리 가난한가? - p.41


천재적인 남자들이 너무도 견디기 힘들어했던 세상의 무관심은 여자의 경우, 무관심이 아닌 적대감이었습니다. 세상 남자들에게 했던 대로 그녀에게, 네가 선택했으면 쓰렴, 그래 봤자 내겐 별반 마찬가지니, 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세상은 껄껄 웃으며 말했습니다. '글을 써? 네 글이 어디 쓸데가 있다고?' - p.85


소설은 실제 삶에 이렇게 상응하므로, 그것의 가치 기준들은 어느 정도는 실제 삶의 가치 기준들입니다. 하지만 여성의 가치 기준들이, 다른 성에 의해 만들어진 가치 기준들과는 종종 아주 다른건 분명합니다. 그건 당연히 그렇지요. 그럼에도 지배적인 건 남성의 가치 기준들입니다. - p.117


이건 응접실 여인들의 감정을 다루고 있으므로 시시한 책입니다. 상점에 있는 장면보단 전쟁터 장면이 더 중요하지요. 도처에서 훨씬 더 미묘하게 가치의 차별이 난무합니다.  -p.118


제가 여러분들한테 돈을 벌고 자기만의 방을 가지라고 당부하는 것은, 여러분의 리얼리티가 있는 곳에서 활기 있는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그걸 남과 나눌 수 있든 없든 간에 말입니다. -p.174


다른 무엇보다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간략하고 무미건조하게 말하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합니다. 고상하게 들리도록 할 줄 안다면 저는, 다른 사람한테 영향을 끼칠 생각은 꿈도 꾸지 말라고 하고 싶습니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생각하십시오. - p.175


지금 저의 믿음은, 단 한줄도 쓰지 않고 교차로에 매장된 이 시인이 아직도 살아 있다는 것입니다. 그녀는 여러분과 제 속에, 또 설거지를 하고 아이들을 재우느라 오늘 밤 이 자리에 있지 않은 수많은 다른 여성들 속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대한 시인들은 죽지 않기 때문에 그녀는 살아 있습니다. -p.179

여러분은, ‘하지만 우린 당신한테 여성과 픽션에 관해 말해 달라 요청했습니다. 이게 자기만의 방하고 무슨 상관이 있는거죠?‘ 라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