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의 제자들 밀리언셀러 클럽 140
이노우에 유메히토 지음, 김아영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마법사의 제자들>이라는 제목만 보았을 땐 판타지 장르를 떠올렸다. 그런데 첫 장을 펼치며 그 생각은 확 뒤집혔다. 일단 배경부터가 현대 일본이었으니까. 그리고 용뇌염이라는 높은 치사율의 무시무시한 전염병에 대한 얘기가 나올 땐 얼마 전 우리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메르스가 떠올랐다. 그리고 극도로 높은 치사율이란 부분에선 에볼라 바이러스를 떠올리기도 했다. 여기까지 읽었을 땐 전염병 관련 소설에 왜 제목이 <마법사의 제자들>일까, 이 용뇌염이란 질병 이면엔 어떤 무서운 것이 숨어있는 것일까 라는 생각을 했다.

  급전개로 주인공들이 용뇌염이란 바이러스를 극복해내고 신기한 후유증을 얻어서 자각하고 세간을 놀라게 하는 일련의 과정들에서는 마블 시리즈의 히어로물, 특히 그 중에서도 엑스맨이 연상됐다. 엑스맨 또한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이능력을 지니게 된 돌연변이들이 등장하여 그러한 능력을 두려워한 집단에게 통제를 받기도 하고, 능력을 상실하기도 하는데 왠지 <마법사의 제자들> 주인공들이 세간에 능력이 드러나고, 그런 능력 탓에 경찰에게 쫓기는 모습을 보니 엑스맨과 비슷하게 느껴졌다. 한편으론 영화 <크로니클>이 떠오르기도 했다. 우연한 기회로 얻게 된 능력을 자각하고 그것을 차츰 익히는 모습이 <크로니클>의 주인공들과 비슷해보이기도 했다. 물론 <크로니클>의 암울한 결말과 <마법사의 제자들>은 차이가 있었지만.

  스피드한 전개가 돋보였고 급격하게 바뀌는 상황들, 거듭되는 반전(?)이 제법 흥미로웠다. 그에 반해 아쉬운 점이라면 ... 일단 가장 큰 부분은, 의도적인 건지 모르겠지만 <마법사의 제자들>에서는 '악(惡)'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호 발병자인 고바타가 계속 의식이 없는 이유는 뭘까, 용뇌염이란 무시무시한 전염병이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유는 뭘까, 주인공들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 류오대학병원의 저의는 뭘까, 그리고 뜻하지 않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주인공들 중 누군가가 갑자기 폭주를 하지 않을까,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능력을 마구 휘두르지 않을까, 누군가 이 능력을 이용하기 위해 접근하지 않을까, 정부 기관이 나서지 않을까 등등의 생각을 하며 쭉 보았지만, 끝까지 그런 모습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누구도 '악'하지 않았으며, 용뇌염의 발생에 조차 '악'한 요소는 전혀 없었다. 다만 경찰들의 모습은 고구마 백 개 먹은 듯한 답답함을 안겨주긴 했지만. 그리고 사실 이 정도면 정부 차원에서 나서서 뭔가 했을 것 같은데, 일본 정부는 이들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걸까?

  결말도 2% 정도 부족했다는 생각이 든다. 차라리 최후의 반전이 나오지 않았다면, 조금 충격적이고 암울하지만 좀 더 매력적인 작품이 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결국 희망적인 메시지를 던지며 끝내는 모습은 허탈했다. 

  그래도 무료할 때 한 번쯤 읽어볼만한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본 황금가지 밀리언셀러 시리즈 중에선 하위권에 속하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