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타운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어타운'은 '우리'에 대한 이야기다.

'베어타운'이라는 제목과 아기자기한 표지를 보았을 때, 누구나 따뜻한 이야기를 떠올릴 것이다. 소설의 전반부를 가득 채우고 있는 사람들과 하키에 대한 열정 역시 따뜻하게 느껴진다.

그렇다. '베어타운'은 모든 것을 바라 볼 때, '본질'을 보지 못하면 얼마나 위험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베어타운은 '우리'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라는 이름으로 본질을 놓친 채 우리가 얼마나 많은 폭력을 행사해오며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어려운 문제, 단순한 해답. 공동체라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가 선택한 것들의 총합이다. - p.426

공동체, 우리는 나의 선택이 아닌 우리가 선택한 것들의 총합이다. 아프고 무겁지만 나 역시도 우리에 속해 있기에, 그것이 진실이다. 하지만 결국에 그 선택 또한 나의 일이다. 나와 다른 사람의 일이 아닌, 나의 일이다. 

몇 년 전 이 소설이 나왔다면, 마음이 더 많이 무거웠을 것이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을 그대로 인정했을지도.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이 소설의 몇몇 사람들이 그랬듯, 진실의 목소리를 내고, 그 목소리를 들어 줄 마음의 준비가 조금은 되어 있는 세상이 되었다. 목소리를 내는 사람에게는 큰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목소리를 듣고 옳고 그름과 선과 악을 판단하는 용기 또한 필요하다. '우리'라는 공동체에 가만히 머물러 있는 비겁함을 인정하고 벗어나야 하기에.

어른이면 누구나 완전히 진이 빠진 것처럼 느껴지는 날들을 겪는다.
뭐 하러 그 많은 시간을 들여서 싸웠는지 알 수 없을 때, 현실과 일상의 근심이 압도당할 때,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 그렇다. 놀라운 사실이 있다면 우리가 무너지지 않고, 그런 날들을 생각보다 더 많이 견딜 수 있다는 것이다. 끔찍한 사실이 있다면 얼마나 더 많이 견딜 수 있을지 정확하게는 모른다는 것이다. - p.88

증오는 매우 자극적인 감정일 수 있다.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을 친구와 적, 우리와 그들, 선과 악으로 나누면 세상을 훨씬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훨씬 덜 무서워할 수 있다. 한 집답을 똘똘 뭉치게 하기에 가장 쉬운 방법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은 어렵다. 요구사항이 많다. 증오는 간단하다. - p.3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