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용의 아트 내비게이션 - 대한민국 1호 도슨트가 안내하는 짜릿한 미술사 여행
김찬용 지음 / arte(아르테) / 2021년 1월
평점 :
품절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좋아한다

제가 특이한걸까?

적어도 가족들은 그렇게 생각하고있다

활동적이라 스포츠는 즐겨도 답답한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어떻게 몇시간이나 있냐고 말이다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한창 유행일때 나도 나의 버킷리스트를 작성해보았다

루브르와 오르세 메트로폴리탄이 그 리스트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김찬용씨는 전시회장을 즐겨찾는 사람에게는 잘 알려진 스타도슨트다

일명 '전시장의 피리부는 사나이'

나도 이 피리부는 사나이에게 매혹된 관람객 중의 한명이었다

도슨트의 안내를 받으며 1시간 남짓한 시간동안 전시장에서 작품과 맞이하는 경험을 하면 도슨트없이 전시를 감상하는 것은 커피 마시다가 맹물 마시기로 비유될까?

이 책의 지향점은 뚜렷하게 책 앞부분에 나와있다

가볍게 그림을 보는 방법을 전하고 싶다는 것이 저자의 바람이다

타고난 이야기꾼인 김찬용 도슨트는 이 책을 통해 누구나 미술을 즐길 수 있도록 길잡지가 되기를 자처하고 있다

진지하지만 어렵지 않게

꽉 차있지만 과하지 않게

"당신의 삶에 예술이 스며들길" 바라는 마음이 책 전체에 녹아있다

충실한 내비게이션을 탑재한 덕분에 이제는 즐기는 마음으로 작품을 마주할 수 있을것 같다 

출발지 설정에 앞서 '당신은 미술애호가인가요?'라는 테스트로 스스로의 애호도를 점검할 수 있었다

전문가 > 깊은 애호가 > 애호가 > 미.알.못

이렇게 4단계중 깊은 애호가와 애호가 중간쯤 어디에 내 자리가 있는 것 같다

작년을 기준으로는 애호가 2019년을 기준으로는 깊은 애호가

작년은 코로나 덕분에 취미생활도 타격이 컸나보다

이 책은 미.알.못 부터 애호가 정도를 제일 적합한 독자로 보고 있다

전문가 단계의 독자라면 너무 가벼운 책일 수 있다는 지적

 

저자는 곰브리치의 미술사를 공부할 정도의 독자를 찾지는 않느다

원시미술이나 고대부터 시작하는 미술공부는 중간에 포기하기 쉽다는 설명

실감한다. 그 두꺼운 책을 보는 순간 미술사를 포기했으니까

좋아하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합니다

굳이 정하자면 인상파부터 시작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상관없는 것이 미술애호 아닌가?

이 책에서도 철썩같이  좋아하는 작가에 대한 설명을 먼저 찾아서 읽었다

세잔을 인상파보다는 추상화의 시작점으로 설명한 것이 인상적이다

잡스와 이건희가 사랑한 마크 로스코

내셔널 갤러리의 작가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을 눈물짓게 한다는 바로 그이다

그의 작품을 볼때 전혀 눈물이 나오지 않았지만 그의 작품을 좋아한다는 작가의 말에 100% 공감이다

저자가 진정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이것일까?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은 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