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널목의 유령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23년 7월
평점 :
새벽 1:03
독자들이 투고한 편지 중에서 신빙성 있는 심령소재 기사를 취재하게 된 마쓰다기자는 원래 사회면을 취재해온 베테랑 기자였다. 아내가 병으로 죽은 후 여성잡지로 회사를 옮겼고 예전의 집념있는 기사를 써 내지 못하게 되면서 심령기사를 쓰도록 제안을 받았고 마지못해 하겠다고 한 기사의 소재는 시모키다자와 3호 건널목에서 독자들이 보내온 사진이었다. 그 사진 속에는 통행인 같은 여성의 옆모습이 담겨있었다.
허공에 뜬 모습이라니...
‘망자’가 찍힌 사진이라니...
사실의 오인일까? 지어낸 이야기일까? 공포심에서 유래한 집단심리나 헛소문일까?
마지못해 맡은 소재를 쫓아가는 마쓰다에게 새벽 1시 3분에 발신자를 알 수 없는 전화가 걸려오고 신원을 알 수 없는 시모키다자와 3호 건널목에서 살인을 당한 여인의 주변을 찾아다니게 되고 살인을 했던 피고인은 갑자기 죽게 되고 그 여인의 친구의 남자는 조직과 연관되어 있고 또 그도 죽고...
단순한 살인사건도 아니고 죽은 유령을 소재로 한 가십위주의 심령기사도 아닌 것을 알게 되면서 마쓰다는 예전의 기자의 필력을 찾게 되는데...
“혼잡한 지하철 안에서, 지하 통로에서 수많은 사람이 마쓰다의 눈앞에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그의 입장에서는 이름조차 모르는 유령 같은 사람들이었다. 그 남자들, 여자들 중에도 자신이 누구인지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살아가는 사람이 있을까? 궁극의 고독이라 할 수 있는 처지가 이 도시에서는 흔한 이야기인지, 아니면 드문 이야기인지조차 마쓰다는 알 수 없었다.”
“마음을 느껴 주면 되는 겁니다. 그게 돌아가신 분과 대화를 나누는 거지요. 그들의 기쁨이나 슬픔을 마음으로 나눌 수 있다면 반드시 모습을 보여 줍니다.”
행복하게 웃어 본적이 없어서 웃는 모습조차 기이한 여인은 자신을 알아봐주는 사람에게 진실을 전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