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그런 정답은 없다 - ‘오늘의 식탁’에서 찾아낸, 음식에 관한 흔한 착각
정재훈 지음 / 동아시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SMR이 자율감각 쾌감반응이라는 어려운듯한 용어였네요. 처음 알았다고 하면 저만 그런건가요? 그냥 사운드의 종류라고 생각했는데 말이죠

천연발효종이 또 이런 의미였네요 밀가루와 물로 발효를 시킨 것 말이에요

이렇게 제가 몰랐던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니 단순 정보책인 것처럼 보이지만 정확한 정보뿐만 아니라 음식과 문화, 그리고 음식을 대하는 현세태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함께 우리가 가지고 있던 음식에 대한 생각을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보게 하네요.
그냥 좋다고, 나쁘다고 버리고 취하는 것이 아니라 식재료등에 대한 가짜뉴스와 과대정보를 가려서 고를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해주어 평소에 건강기능식품이라던가 건강음식이라고 홍보하는 것에 대해 의심이 많은 사람으로 공감이 되었네요.

"터무니없는 건강 뉴스가 계속 보도되는 것은, 상식을 벗어나더라도 화제성이 크면 더 많이 다루는 미디어의 속성 때문이다. 조금만 따져봐도 이치에 맞지 않는 뉴스를 미디어가 서로 베끼고 확대, 재생산하면, 어느새 처음의 가짜 뉴스가 믿음의 근거로 변한다. 뉴스에 나왔는데 틀릴 리가 없지 않으냐는 생각이다. 그렇지 않다. 뉴스에 백번 나와도 틀린 건 틀린 거다."

"정답을 포기해야 다양한 답이 보인다. TV에 출연한 맛 전문가는 옛날 씨암탉은 맛이 없었을 거라며 미식의 정답이 아니라는 식으로 몰고 가지만, 진정한 미식에 그런 정답은 없다."

"최적화라는 정답이 다양성을 죽였다"

너무 여러가지 음식에 대한 시선을 나열한 듯해서 조금은 정신 없었지만 푸드라이터이면서 약사인 작가가 약이 아니라 약이 아니라 음식에 대한 글을 쓰고 책도 여러권 낸것을 보면 인간에게 약보다 음식이 더 중요하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네요. 

책 중간에 괴식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은 음식을 먹는다고 해서 괴식이라는 치부하는 편견에서 벗어나야 하고 괴식은 그 음식을 먹지 않는 사람에게만 괴식일 뿐이라는 말도 좋았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